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대한민국 경기도의 국립 대학원대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國立癌센터國際癌大學院大學校, National Cancer Center Graduate School of Cancer Science and Policy)는 대한민국 고양시 일산동구에 있는 국립암센터 산하의 대학원대학이다. 현재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간략 정보 종류, 설립 ...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National Cancer Center Graduate School of Cancer Science and Policy(NCC-GCSP)
Thumb

종류국립 특별법법인
대학원대학
설립2014년
모기관
국립암센터
총장서홍관
학장명승권
대학원생 수65명(2022년 기준)
교직원 수150명(2022년 기준)
국가대한민국
위치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웹사이트http://www.ncc-gcsp.ac.kr
닫기

개요

국립암센터(國立癌센터, 영어: National Cancer Center,NCC)는 대한민국의 암 연구·진료 전문 기관이며 연구소, 부속병원, 국가암관리사업본부,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연혁

  • 2000. 국립암센터법 공포
  • 2000. 국립암센터 법인 설립
  • 2001. 국립암센터 개원
  • 2014.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개교
  • 2017.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설치/전문대학원 확대
  • 2019.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설립
  • 2019.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국제암연구소 암등록 썸머스쿨 개최
  • 2020.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첫 박사 배출
  • 2021.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신남방 국가에 종양 간호 맞춤형 석사과정 운영


설립근거

암관리법[시행 2011. 6. 1] [법률 제10333호, 2010. 5. 31 전부개정] 제29조 제2항


설립배경

세계보건기구(WHO)의 세계 암 보고서(World Cancer Report)에 의하면 암은 21세기 인류의 가장 중요한 건강 이슈가 되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서구사회에 비해 인구 증가속도가 빠르고 고령인구 크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의 암발생 및 암사망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암 부담과 문제를 선험하고, 잘 이해하여 노하우를 축적한 암관리 및 암연구 전문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소개

경쟁력있는 암 전문가 배출

  •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는 글로벌 암관리 및 연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석사 및 박사과정으로 이루어진 전문대학원으로 2014년 개교한 이래 총 140명의 졸업생(석사 132명, 박사 8명)을 배출했다.

세계 각국의 글로벌 인재 유치

  • 현재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재학생의 50% 정도가 아시아/아프리카 등 외국학생으로 모든 강의를 영어로 진행하고 있으며, 외국학생을 포함한 석·박사과정 학생 전원 대상으로 등록금과 생활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아프리카 등 개발국의 외국학생은 졸업 후 정부기관, 보건의료기관, 연구소 및 대학 등에 취업해 자국의 암관리 및 연구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2021년 4월 기준 입학정원은 연간 석사 20명 및 박사 7명으로 재학생 73명 중 아시아 9개국(베트남, 라오스, 인도, 몽골, 방글라데시, 중국, 싱가폴, 필리핀, 이란), 아프리카 1개국(우간다) 등으로 외국인이 35명(48%)을 차지하고 있다.

‘미네소타 프로젝트’에서 ‘국립암센터 프로젝트’로

  • 1955년부터 7년 동안 한국 원조계획의 일환으로 미네소타 주립대에 서울대 교수진을 보내 무상으로 의학 등 선진학문 및 기술을 전수한 교육원조, 일명 ‘미네소타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이제는 우리나라가 아시아/아프리카 개발국에 암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국립암센터 프로젝트’를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에서 수행하고 있다.

교육목표 및 전략

특정 및 경쟁력

· 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화된 교과과정

· 기존 대학에서 찾아볼 수 없는 암 중심의 교육과정

· 다학제적 커리큘럼 교육


국제적 전문인력 양성

· 전 과정, 전 과목 100% 영어 강의

· 외국인 학생 비율 50% 이상 유지


국립암센터와 연계한 이론·실무의 통합 교육

· 암 연구·진료·국가암관리사업 기능을 가진 국립암센터를 활용한 이론·현장실습·실무 및 기초·임상적 적용의 통합교육 가능

조직

총장(서홍관)

대학원장(명승권)

부대학원장(김정선)

학과

· 암관리학과 학과장(기모란)

· 암의생명과학과 학과장(이호)

· 암AI디지털헬스학과 학과장(김선영)

교무행정처

· 처장

교무학사팀

· 팀장

글로벌교육협력센터

· 센터장(오진경)

역대총장

자세한 정보 대수, 성명 ...
대수 성명 재임기간
초대 이진수 2013.09.~2014.06.
제 2대 이강현 2014.07.~2017.07.
제 3대 이은숙 2017.07.~2020.11.
제 4대 서홍관 2021.01.~ 현재
닫기

*국립암센터 원장 겸임

역대 대학원장

자세한 정보 대수, 성명 ...
대수 성명 재임기간
초대 김인후 2013.09.~2017.02.
제 2대 박종배 2017.02.~2021.01.
제 3대 명승권 2021.01.~ 현재
닫기

전공

요약
관점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는 현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암관리학과 (Department of Cancer Control and Population Health)

· 암의생명과학과 (Department of Cancer Biomedical Science)

· 암AI디지털헬스학과(Department of Cancer AI & Digital Health)


암관리학과

교육과정 구성의 특성

암관리학과의 교육과정은 국가암관리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암 예방 및 관리, 암 역학 및 영양학, 암 통계학 분야를 아우르는 관련 학문 분야 간 학제적 통합을 특징으로 함.

· 암 예방 및 관리

암관리사업을 기획·수행·평가하는데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실습활동을 통하여 암관리사업 전문 인력으로서의 능력 함양

· 암 역학 및 영양학

암의 발생 및 사망 등 암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암의 발생기전에서 식이의 역할과 암환자의 영양관리 등 암과 관련된 영양역학에 대한 지식 습득

· 암 통계학

암 관리 및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암관리사업분야에서 필요한 자료 생성 및 암 연구 분야에 필요한 방법론과 통계적 기법 제기


암의생명과학과

교육과정 구성의 특성

암의생명과학과의 교육과정은 통합적 암연구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종양생물학, 암과학, 기초생물학, 의과학 및 암분자역학 분야를 아우르는 학문 분야간 다학제적 통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 또한 연구-진료-암관리사업의 협력 구조로 되어 있는 국립암센터의 특성을 활용하여 기초연구, 임상적용, 국가단위 암관리 정책과 사업이 연계되는 통합적 교육 현장을 마련함.

전공 선택을 암 기초 연구, 통합적 중개연구, 치료 연구, 역학적 연구로 구분하여 편성함.

· 암 기초 연구: 최신 암연구에 필요한 기반지식 교육

· 통합적 중개 연구:오믹스(Omics) 및 시스템생물학에 대한 교육

· 치료 연구: 유전자 치료, 면역치료, 나노의학 등 신 치료방법을 소개하고 그 기반이 되는 지식을 심화 교육

· 역학적 연구: 암 역학 및 역학기반의 영양학, 유전학에 대한 교육


암AI디지털헬스학과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지향점

· 암 빅데이터에 데이터과학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 실무역량 제고를 위한 실습 인프라 구축과 체계적인 실습 교육과정 개발

· 국립암센터 내 부서조직과의 교류 활성화로 효율적 일자리 연결

기본 교육과정

· 기본적인 보건의학 통계, 임상시험, 인구기반 보건역학 연구,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의료정보학 등 다양한 연구와 응용분야에 노출을 통한 데이터 핸들링 및 분석 능력과 유연한 소통 능력을 함양함

· 고급 보건의학 통계기법, 연구설계 및 방법론,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인포메틱스 등을 교육함

응용 실습과정

· 영상, EMR, 유전체, 생체신호, 자연어 등 빅데이터 구축 및 가공을 실습하고, 인공지능 연구 개발 수행

· 의료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료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개발된 AI의 현장 실증 수행

입학

등록금

· 1학기 450만원

· 수료후 등록 25만5천원


모집 시기

· 전기(3월 입학): 전년도 9월 경에 모집공고하여 전형 실시

· 후기(9월 입학): 매년 3월 경에 모집공고하여 전형 실시


지원 및 전형 절차

· 온라인원서접수(http://admissions.ncc-gcsp.ac.kr/ 보관됨 2022-08-17 - 웨이백 머신) 및 서류제출

· 서류심사

· 면접심사(영어로 진행)


모집학과 및 인원

자세한 정보 학과, 모집인원(연간,명) ...
학과 모집인원(연간,명)
구분 석사 박사
암관리학과 20 7
암의생명과학과
암AI디지털헬스학과
닫기


지원자격

· 국내외 4년제 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 출신 학과/전공 불문

· 공인영어성적 제출

장학금

등록금 지원

· 신입생 특별장학금 : 신입생에게 첫 학기 등록금 전액 지원(학∙연∙산 현동과정 입학생 제외)

· 성적우수장학금: 전(前) 학기 성적우수자에 대하여 등록금 면제 (전액 또는 일부)

· 국제협력증진장학금: 국제협력증진에 공헌할 수 있으며, 발전가능성이 있는 외국인 학생에게 지급

· 외부장학금: 기탁자의 기탁조건에 따라 지급

(2022년 8월 기준 등록학생의 80% 이상이 등록금 지원 장학금을 수혜)


학업 및 생활비 지원

근로장학금 지원

· Research Assistantship (RA) : 재학생 중 교원의 연구과제에 참여하여 연구 활동 경우 지급

· Academic Assistantship (AA) : 재학생 중 수업조교 등으로 근무하는 경우 지급

국제협력교육 연수 지원금: 국제협력교육 암 연수생 지원 프로그램에 지원하여 선정된 경우 지원

국제지원기구 지원금: 국가 또는 기관 협약을 통해 국제지원기구(KOFIH 등) 지원자로 선정된 경우 지원

학생 지원 프로그램

∙ 국제암연수생 지원: 글로벌 암 연구 및 암관리사업 분야의 연수 지원

∙ 해외학회 지원: 해외학회에 참석하여 제1저자로 구두 또는 포스터를 발표할 계획이 있는 학생의 해외학회 참여 경비 지원

∙ 국제교육 지원: 국제기구 및 암전문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 및 단기 연수프로그램 참여 지원

∙ 한국어교육: 외국인 학생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방학 중 실시

∙ 세미나: 암 연구의 신경향을 습득하고 연구 교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세미나 개최

학교 현황(2022년 기준)

교사, 교지 보유면적

· 교사: 4,487.50㎡

· 교지: 3,862.22㎡


전임 및 겸임교원 현황

· 전임교원 18명

· 겸임교원 72명

· 명예교수 5명

· 객원교수 39명

· 연구교원 3명

· 산학협력교원 11명


학생 현황

· 총 65명

· 석사 39명

· 박사 26명

· 내국인 37명/ 외국인 28명(외국인 비율 43%)

· 졸업생: 165명

학교시설 및 환경

캠퍼스

· 국가암예방검진동

자세한 정보 층, 위치 ...
위치
12층 컨퍼런스룸, 그룹스터디룸
10층 교무학사팀, 강의실, 교수 연구실, 원우회의실, 그룹스터디룸
9층 PC랩실, 교수연구실
8층 대강의실, 세미나실
닫기


· 연구동

자세한 정보 층, 위치 ...
위치
1층 대강의실, 연구용 실험실
닫기

· 편의시설

자세한 정보 시설, 위치 ...
시설 위치 시설 위치
식당 병원동 지하1층, 행정동 1층 커피숍 병원동 1층
편의점 병원동 지하1층 은행 검진동 1층
우체국 검진동 1층 체력단련실 행정동 2층
닫기


기숙사

· 기숙사 3개관 운영중 (여학생 2개관, 남학생 1개관 운영)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