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군사 계급

군대에서 상하의 위계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갖춘 체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군사 계급
Remove ads

군사 계급(軍事階級, 영어: military rank)은 군대 또는 군대와 유사한 조직 내의 체계적인 계층 관계를 말한다. 군 조직의 상하 관계와 지휘 계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운용된다.

Thumb

나라별 군인 계급의 차이

요약
관점

부사관은 각 국가마다 정하는 체계가 달라 NATO OR Code 같은 것으로 동맹국간의 사전합의를 보나, 장교의 경우 징병제 국가든 모병제 국가이든 계급을 거의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를 들어 영국 육군의 Corporal은 부사관 2번째 계급이지만 미 육군에서는 부사관 최하위 계급이며 병으로 구분되는 Specialist와 위치상으로는 동급으로 규정한다. 대한민국 육군은 Corporal을 상등병으로 번역하지만 영국군에서 Corporal은 대한민국 국군의 하사에 해당하는 분대장 직책을 수행하며 미 육군의 Corporal은 대한민국 국군의 병장급에 해당하는 사격조장, 부분대장의 직책을 수행한다. 한자를 사용하는 대만은 상등병은 Private Senior Class로 Corporal은 하사로 번역하고 부사관으로 구분하여 부분대장, 분대장의 역할을 맡기지만 싱가포르군에서는 Corporal을 하사로 한자번역하면서도 부사관이 아닌 병으로 구분한다. 러시아군처럼 부사관이라는 계층이 분대장, 전차장 정도의 고참병사, 하급부사관 역할만을 담당하고 상급부사관의 역할을 준사관이 담당하는 경우 계층적으로도 서방세계와의 일대일 대응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카투사를 비롯하여 각 군의 장병들과 미군 간의 교류 발생시 혼란을 막기 위해서 '양 국 병사부사관은 상대 국가 부사관의 계급을 그대로 인정하고 예우'하도록 하는 규정으로 사전합의를 해두었다. 이는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이후 엄격히 시행되고 있다.

흔히 언론에서 일컫는 '사병'이란 말은 한국에서 징집병을 뜻하나, 이는 1994년 군인사법 개정 이후 '하사관'과 마찬가지로 쓰이지 않는 단어이다. 영어로는 'enlisted'라고 번역된다. 그러나 원래 한국에서 '사병'이라는 말은 '부사관'(non-commissioned officer)을 포함하는 의미였다. 따라서, 한국어로는 장병이나 (군인 모두를 의미), 장교, 부사관, 으로 구분하여 명시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의 공식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군 원사 계급영어명은 ‘Command Sergeant Major’이지만, Command Sergeant Major미군 계급으로 원사가 아닌 ‘주임원사(별도의 계급이 아닌 보직)에 해당하므로 ‘Sergeant Major’가 보다 합리적인 명칭이다.

미군 계급에서 위관급은 Company Grade Officer, 영관급은 Field Grade Officer, 장성급은 General Officer라고 흔히 불린다. 또 Lieutenant는 중위소위를 통칭하며, Sergeant부사관을 모두 아우르는 말이다.

도표

아래의 도표는 대한민국·미국, 중공, 일본북한의 군사 계급의 명칭을 담고 있다.

자세한 정보 NATO 계급 부호, 미군 급여 등급 ...
  • 원수위는 명예직이다 직책은 대장급이 맟은 직책을 그대로 사용하며 원수이상은 말하자면 종신대장이라고 보면 된다
  • 표에서 붉은 색은 병사를, 노란색은 부사관을 의미한다.
  • 2013년부터 계급별 복무기간이 이등병 3개월, 일등병 7개월, 상등병 7개월, 병장 나머지 기간[3]으로 변경되었다.[4]
  • 자위대는 등급과 단위명 사이에 소속을 붙여 육(陸)장보, 이등해(海)좌, 삼등공(空)조…식으로 읽는다.
  • 독일 연방군 계급의 경우 한국의 군 계급체계와 약간 차이가 있는데 부사관 계급에 선임하사, 선임중사, 선임원사가 있으며, 위관 장교 계급에 상급대위가 존재한다. 1990년 10월 3일에 독일이 통일할 당시, 서독의 미군식 계급체계와 동독의 소련군식 계급체계를 통합할 때 약간의 혼선이 있었으나, 위관 장교 계급에 상급대위(Stabs-Hauptmann/Stabs-Kapitänleutnant)를 신설하여 동독군 위관 장교들을 편입 시킴으로써 현재의 독일군 위관 장교 계급체계가 정립되었다. 당시에 위관 장교 계급을 공산권의 '소위-중위-상위-대위'가 아닌 '소위-중위-대위-상급대위'로 지정한 이유는 엄연히 중위와 대위 사이에 신설한 것이 아니라 대위 위에 계급을 신설한 것이기 때문에 공산권 국가를 포함한 타국의 상위, 대위보다 더 높은 계급이라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독일군의 계급에는 "선임", "상급"이라는 단어가 끈질기게 남아 있게 되었다.
Remove ads

계급별 설명

요약
관점

준사관

준사관 또는 준위라는 계급군대에서 특정 분야의 전문가(미군에서는 Warrant Officer로 칭함)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에만 종사하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준위는 특별참모로서 계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대대장급까지 지휘관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항공준사관에 한하여 유일하게 자신의 상급자를 직속부하로 둘 수 있는데, 항공준사관은 보통 항공기의 정 조종사가 되며 그에 따른 부 조종사로 소령 또는 대위장교가 편제되는 경우가 많다. 정조종사는 준사관이 대부분이지만 항공기 지휘는 선임 장교가 지휘한다.

본인의 지원에 의하지 아니하고 임용된 하사

군인 봉급표에 나오는 '본인의 지원에 의하지 아니하고 임용된 하사'(준 부사관이라고 할 수 있음)는 전문하사와는 다르다. 전문하사는 의무복무 기간 동안은 군인사법징집병과 동일하며, 그 이후에야 비로소 직업으로서의 하사로서 부사관으로 다시 군생활을 이어 나가는 것이다. 1994년 이후 중 차출되어 임용된 일반하사는 폐지되었으나, 전시의 경우 예비역 병장보충역, 제2국민역 중 임용하므로 공무원 봉급표 상 여히 존재한다.[5]

일반직 공무원과의 비교

공무원 임용규칙 [시행 2015.10.20.] [인사혁신처예규 제12호, 2015.10.20., 일부개정]

1. [별표 1] 공무원경력의 상당계급기준표(제5조제3항 관련)공무원임용규칙

공무원 임용규칙

[시행 2014.11.19.] [인사혁신처예규 제1호, 2014.11.19., 타법개정]

http://www.law.go.kr/admRulBylInfoR.do?bylSeq=1712843&admRulSeq=2200000024584&admFlag=1

[제12호, 인사혁신처예규, 2015.10.20.]

법제처 주소: http://www.law.go.kr/lsBylSc.do?menuId=12&query=%EA%B3%B5%EB%AC%B4%EC%9B%90%EA%B2%BD%EB%A0%A5%EC%83%81%EB%8B%B9%EA%B3%84%EA%B8%89%EA%B8%B0%EC%A4%80%ED%91%9C#AJAX

참고바람 (행정규칙 별표1)

군무원과의 대우기준비교[6]

Remove ads

역사

대한제국

대한제국 당시에 도입된 군 계급의 호칭은 다음과 같으며, 이는 대한민국 국군 계급의 뼈대가 되었다.

  • 원수급: 황족에게만 주어지는 계급이었다.
  • 장교: 계급 이외에도 품계가 주어졌다.
    • 대장(대장): 1품, 시종 무관부 무관장
    • 부장(중장): 정2품, 동궁배종 무관부 무관장
    • 참장(소장): 종2품, 원수부 총장
    • 정령(대령): 정3품, 시위대의 연대장
    • 부령(중령): 종3품, 진위대의 연대장
    • 참령(소령): 종4품, 대대장
    • 정위(대위): 종5품, 중대장
    • 부위(중위): 정6품, 소대장
    • 참위(소위): 종6품, 소대장
  • 사병: 일반병졸인 관계로 품계는 없다. 지휘보직을 받을 수도 없고, 상부의 명령에 따라 움직인다.
    • 특무정교(원사)
    • 정교(상사)
    • 부교(중사)
    • 참교(하사)
    • 상등졸(상등병)
    • 일등졸(일등병)
    • 이등졸(이등병)

한국 광복군

대한제국군의 계급 체계를 모방하였다.

  • 장교
    • 정장(대장)
    • 부장(중장)
    • 참장(소장)
    • 정령(대령)
    • 부령(중령)
    • 참령(소령)
    • 정위(대위)
    • 부위(중위)
    • 참위(소위)
    • 준위
  • 사병
    • 복무정사(원사)
    • 정사(상사)
    • 중사(중사)
    • 참사(하사)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한국 전쟁 당시

한국전쟁 당시의 계급은 장교는 동일했으나 사병에서 차이가 있었다.

  • 장교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 준위
  • 사병
    • 특무상사(원사)
    • 일등상사(상사)
    • 이등상사(중사)
    • 일등중사(하사): 을종하사관은 이 계급으로 임관했다.
    • 이등중사(하사)
    • 하사(병장, 상등병) : 1954년 , 1957년 병진급령에 따르면 하사는 병장과 상등병으로 개편되었다.
    • 일등병
    • 이등병

입대 시 최초로 부여되는 계급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