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귀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귀복
Remove ads

귀복(龜卜)은 거북 배딱지를 씀으로 하는 점복의 일종이다. 거북 배딱지를 가열하여 날 균열 형상으로 보아 점친다.

Thumb
귀복(龜卜)에 씐 거북 배딱지 [왼쪽 ("甲龜 (2)")]과 후토마니(太占)에 씐 사슴 어깨뼈 [오른쪽 ("骨肩鹿 (1)")].

개요

점복을 위해서 쓸 거북 배딱지는 건조시켜 엷게 가공한 것이다. 배딱지에 상처나 구멍을 낸 곳에 태운 '하하카 나무(波波迦木)'(일본귀룽나무)[1] 혹은 '하하키(箒)'(벚나무 등의 나무쪽)을 밀어붙여 난 균열 형상으로 길흉으나 방위에 대하여 점친다. 배딱지 자체를 굽기는 하지 않다.

이 기원은 고대 중국에 있고 상나라 때에 활발하게 행해졌다. 점복 결과 등을 새긴 것이 갑골 문자(甲骨文字)이다. 한나라 때에는 쇠퇴하기 시작했고 당나라에 이르렀으니 복관(卜官 : 궁중에서 점복을 관장하는 관직)조차 끊였다. 일본으로는 나라 시대에 전래됐다. 궁중에 관한 점복으로는, 이 때까지 꽃사슴 어깨뼈가 쓰여 행해지고 있던 후토마니(太占)가 귀복(龜卜)으로 바뀌었다.

당시 지배층은 쓰시마국(對馬國)·이키국(壹岐國)·이즈국(伊豆國)에 있던 우라베(卜部)들을 신기관(神祇官) 관할하로 조직하고 귀복 실시와 그 기술 전승을 하게 했다.[2][3] 우라베의 기술은 비사(祕事)였으며 또 구전였으니 재료(거북의 종류나 배딱지의 부위 등)나 기술에 대하여 아직 해명할 수 없는 부분도 많다.[4]

귀복(龜卜)은 21세기인 오늘날에도 궁중 행사나 각지 신사의 의식에서 실시되고 있다. 궁중 행사에서는 대상제(大嘗祭)에서 사용하기 위하는 의 채취할 땅의 방위('유키의 나라'(悠紀の國)와 '수키의 나라'(主基の國))를 결정할 때에 쓰인다. 2019년(레이와 원년) 5월 13일황거(皇居) 궁중 삼전(宮中三殿)에서 '재전 점정의 의식(齋田點定の儀)'이 실시됐다. 2018년에 행해진 준비 작업에서는 도쿄도 오가사와라촌에서 푸른바다거북 배딱지가 조달됐다.[5]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