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그랜드 히카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그랜드 히카리
Remove ads

그랜드 히카리(일본어: グランドひかり)는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운행한 히카리의 열차 명칭으로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 후 서일본여객철도가 운영한 고속열차 등급으로, 100N계(일본어: 100N系)라고 부른다.

간략 정보 그랜드 히카리 グランドひかり, 개요 ...
Remove ads

역사

1989년 3월 11일에 신설된 명칭으로 당시 도쿄 ~ 하카타 구간을 운행 했으며 100계 차량을 운행했다. V편성으로 운행 했으며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역사상 최초로 2층 차량이 도입과 동시에 식당차도 운영하기 시작했다.[1] 기존 열차의 경우 시속 220km인 반면 이 열차는 산요 신칸센 노선에서 시속 230km로 운행했다. 1990년에 다이야 개정으로 왕복 3회로 증편되었다. 1993년에 다이야 개정으로 왕복 8회로 증편되면서 일부 시간대 도쿄 ~ 히로시마, 오카야마, 신오사카까지 운행했다.[2]

그러나 1992년 3월 14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등장한 노조미의 등장과 300계 차량이 등장되면서 수요가 급감하면서, 2000년 3월 11일에 식당차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운행 구간도 히로시마 ~ 하카타 구간이 단축되었다. 같은 해 12월 31일시간을 달리는 여행, 철도 관광 기념 히카리(일본어: 時をかける旅、メモリアルトレインツアー ひかり号食堂車リバイバル) 559호(신오사카 ~ 하카타)의 운행하면서 임시로 식당차를 개업했다.[3] 2001년 9월 30일산요 신칸센 운행을 종료했다. 2002년 5월 18일에 히카리 201호를 끝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운행을 종료했다.[2] 같은 해 11월 23일 안녕, 그랜드 히카리(일본어: さよなら, グランドひかり) 563호, 568호(신오사카 ~ 하카타)의 운행을 끝으로 종료되었다.[4] 운행 종료 당시 식당차도 운영했으나 사전 예약을 하지 않으면 이용이 불가능했다.[5] 운행 종료 기념일 당시 2층 차량의 경우 V9편성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Remove ads

차량 구성

Thumb
그랜드 히카리 식당차
Thumb
그랜드 히카리 식당차 전경
  • 부수차를 2층 차량 4량으로 충당했다. 2층 차량은 7~10호차에 투입되어, 7·9·10호차 3량은, 계단 위는 전망이 좋은 것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그린석이었지만, 아래층은 그 후의 500계나 히카리 레일스타로 연결되는, 서일본여객철도의 특징이 넘치는 질높은 공간이 되어 있었다. 그 아래층은 보통 지정석이면서도, 좌석은 4열 배치가 되어 있었다. 게다가, 이용자의 취향을 배려한 조명과 침착한 색조의 인테리어, 부수차만이 가능한 정숙성 등으로, 순식간에 비즈니스맨의 인기를 얻었다.
  • 하지만 전기제동을 사용하지 않는 부수차는, 동력차에 비해 제동시의 감속 G의 시작이 늦어 동요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게다가 4량이 연속으로 편성 중간에 놓인 2층 차량의 관성 에너지는 상당히 커, 제동시마다 큰 전후 방향의 충격이 있었다. 이것은 편안함을 추구해 이 차량을 선택한 승객과, 식사를 즐기는 식당차의 손님에 있어서는 큰 문제였다. 그린차 단골 중에는 그랜드 히카리를 기피하는 경우도 있었던 등, 접객시설이 뛰어났던 만큼 이것은 아쉬운 사례였다.
  • 당시 도쿄 ~ 하카타간 장거리를 운행했기 때문에, 8호차는 X편성과 마찬가지로 식당차가 되었다.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에서 식당차는 0계, 100계 모두 8호차가 되어 있다.
  • 산요 신칸센 완전 개통 당시에, 도쿄 ~ 하카타를 6시간 이상에 걸쳐 주행하는 히카리 등급 열차에서 식당차를 영업하는 것이 결정되었고, 또 개업 당시에 비즈니스맨이나 장거리 여객 등이 빈번히 식당차를 이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필연적으로 식기를 씻기 위한 물이 대량으로 필요하다. 재래선이라면 오수는 주행중에 밖에 버리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현재는 재래선에서도 환경의 문제로 인해 순환식 오수 처리 장치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구간이 도시를 따라 있는 한편 운전속도가 높은 신칸센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었다. 화장실에서 오수를 정화하여, 세정수로서 재이용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식당차에서는 위생상 재생수는 이용할 수 없었다. 그로 인해 오수를 상하(床下)의 탱크에 모아, 중간 정차역에서 오수를 배수하는 방법이 선택되어 이 오수를 지상에서 모으기 위한 배수 도랑(피트)가 8호차 바로 밑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식당차는 8호차로 고정되었다.
  • 비상 연결기 아래에 공기 취수구가 설치되었다. 이것은 선두차가 전동차가 되었기 때문에, 주전동기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 M차는 상하에서 냉각풍을 도입하고 있었지만, 제어차에는 스커트가 있어 주행풍을 도입이 불가능했다.
  •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행선지 표시기를 롤식에서 LED(3색)식으로 변경하여, 정차역 표시 등을 가능하게 했다.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차량만 해당하며 이 이후에 제조된 서일본여객철도의 모든 차량(300계와 키하 120형 등을 제외)에 탑재되고 있다.
  • 최고 영업 속도 230km으로 주행(산요 신칸센)하기 때문에, ATC 220km 신호를 230km 신호로 바꾸는 장치 트랜스폰더가 설치되었다.
  • 장래의 고속화에 대비해 270km/h로 주행가능한 성능이 주어졌다. 시험에서 최고 영업 속도 277.2km를 기록 했으나 소음 문제로 최고 영업 속도는 230km로 영업이 계속되었다.
Remove ads

정차역

현황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총 9편성이 도입되었다. 현재 V편성의 경우 전 차량 폐차되었다.

자세한 정보 차호, 도입 시기 ...
Remove ads

객차 구성

100계 3000번대

자세한 정보 호차, 좌석 ...

운행 열차

퇴역 및 과거 운행 열차

퇴역 후

그랜드 히카리로 운행을 종료한 100계 V편성은 전량 6량 편성의 K편성과 4량 편성의 P편성으로 개조 후 고다마에 운행 했다가 차량 노후화로 인해 2012년 3월 16일에 퇴역했다.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