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CC (기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KCC (기업)
Remove ads

KCC(한국어: 케이씨씨)는 건축자재, 도료, 실리콘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대기업이자, KCC그룹의 주력 회사이다.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사업

KCC의 사업은 건자재(석고보드 등)와 도료, 그리고 기타 부문으로 크게 나뉜다. 내장재인 석고보드는 건축물에 들어가는 필수 자재이며 암면흡음천장판이 들어간 천장재도 생산한다. 이 회사는 국내 최대의 도료 생산업체로서 자동차용, 선박용, 건축용, 중방식용 등 다양한 분야의 도료를 생산하며 품질은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모멘티브를 인수하며 실리콘을 통해 역대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2022) 매출구성은 실리콘 53.1%, 도료 24.8%, 건자재 16% 등으로 이루어진다.

규모 및 수익

2023년 현재 시가총액이 2조 2,927억인 대기업이다. 순이익은 2022년 285억원이다.

역사

  • 1958년 금강스레트공업주식회사로 설립하였다.
  • 1960년 금강스레트공업 정상영 대표이사 취임했다.
  • 1964년 자산 및 매출 1억원을 돌파하였다.
  • 1973년 사명을 "금강 (스레트)공업'에서 "(주) 금강"으로 변경하였다.
  • 1974년 고려화학주식회사로 설립하였다.
  • 1974년 고려화학 울산공장 준공하였다.
  • 1974년 고려페인트(지금은, KCC페인트) 출시하였다.
  • 1979년 국내 최초의 무공해 분채도료 생산 개시
  • 1980년 고려화학 중앙연구소 설립하였다.
  • 1980년 사가를 제정하였다.
  • 1983년 '고려(화학) 울산(공장)으로 이전(준공)'하였다.
  • 1984년 고려화학-한국전력공사 원자력발전소용 내방사선도료 공급(울진원자력발전소9,10호기)하였다.
  • 1986년 스웨덴 어드헤실(ADHESEAL) 기술제휴와 독일 바커 (WACKER)의 제조기술 지원으로 국산 실란트 제조기술 생산 테스트 개시
  • 1986년 국산 실란트 코레실(KORESEAL SELANT) 제품화 성공
  • 1987년 최첨단 소재에 반도체 칩 보호봉지재(EMC) 고려화학 KTMC 개발 양산 성공
  • 1988년 고려페인트 국내도료업계 최초: 공장품질관리 1등급을 획득하였다.
  • 1990년 방충와 방균도료 바이오퍼펙트 출시하였다.
  • 1990년 올해의 방송광고대상 최우수작품상(고려페인트 - 도미노)을 수상하였다.
  • 1991년 91년 런던 국제(광고) 영상(부문) 파이널(리스트) 고려 페인트 - 도미노(편);
  • 1992년 고려 페인트 단일(품목)으로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 1994년 완주산업단지에 있는 (주)금강 전주 제1공장 준공하였다.
  • 1995년 기업 아이텐티티(CI) KCC으로 정립하였다.
  • 1995년 고려화학 전주 제2공장 준공하였다.
  • 2000년 '(주) 금강'과 ' 고려화학(주)'을 통합하여 '(주)금강고려화학'으로 상호변경하였다.
  • 2005년 '(주)금강고려화학'에서 현재의 상호명[KCC]으로 변경하였다.
  • 2018년 창립 60주년 맞이하여, '핑크퐁'과 헙업하며, 바닥재[숲 시리즈]를 출시하였다.
  • 2023년 한국수력원자력-한국전력기술이 美 기준 원전 방호도장재 인증 추진 (KCC, 삼화페인트공업, 카보라인코리아 등)
  • 2025년 약 '4,300억 원(규모)의 EB[2]'를 발행하였다.

경쟁 업체

'건축 및 인테리어 자재 생산(사업) 모델'이 LX하우시스와 동일하여, 서로 '라이벌 관계'로, KCC는 LX하우시스를 교묘히 깎아내리는 TV광고를 내놓으며 서로 신경전[3]을 벌이기도 했다.

논란

정관 개정 악용

KCC는 2009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신주인수권의 제3자 배정사유를 추가하고, 사채의 제3자 배정 한도를 높였다. 이는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악용되거나 기존 주주의 지분희석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정관 개정안으로 국민연금과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Center for Good Corporate Governance; CGCG)는 반대 의견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이사선임의 경우 국민연금은 과거 회사 대표이사를 역임한 사외이사 후보 1인에 대해서만 반대한 반면, CGCG는 과거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에 따라 현대엘리베이터 공개매수 결정에 동의했거나 지배주주와 학연관계가 있는 사외이사를 모두 반대하였다.[4]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