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금남면 (세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금남면 (세종)
Remove ads

금남면(錦南面)은 세종특별자치시이다.

간략 정보 금남면 錦南面, 로마자 표기 ...

개요

금남면은 금강의 남쪽에 있다고 하여 금남면이라 하였다. 금강 중류에 위치한 금남면에는 일찍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다. 금강 상류 지역인 청원군 두루봉 동굴과 하류인 공주 석장리 유적이 이를 입증하고 있으며 금남면 지역에도 고인돌과 선돌 등 청동기 시대에 유적들이 많이 산재하여 있다. 연기군 내에서 가장 많은 청동기 시대 유적이 산재해 있는 금남면 일대는 세종시에서 사람이 살았던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곳이다.

백제 때에는 소비포현이라 불렀으며, 백제가 한성에서 웅진으로 왕도를 옮긴 후에는 웅진에 속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공주의 명탄면, 양야리면이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시 연기군에 편입시키면서 금남면이라 불리었다.[1]

2012년 7월 1일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기존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에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의 5개 리(원봉·도남·성강·국곡·봉암리)가 합쳐졌다.

Remove ads

하위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법정리, 한자명 ...
Remove ads

산업과 문화

성삼문을 배향한 문절사(文節祠)가 달전리에 있다.

교육

금남면에는 2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