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금속의 반응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금속의 반응성은 금속 원자가 산화되어 양이온이 되려는 성질이다. 금속의 반응성은 특정 금속의 산이나 물과의 반응성, 단순치환반응, 광석으로부터 제련하는 법 등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금속의 반응성 순서를 보면 아연은 구리보다 반응성이 크다. 따라서 고체상태의 금속 아연을 황산구리(CuSO4) 수용액에 넣으면 아연과 구리가 치환되는 다음과 같은 단순치환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 Zn(s) + CuSO4(aq) -> Cu(s) + ZnSO4 (aq)
즉, 실험을 해보지 않아도 이론적으로 붉은색의 구리(Cu)가 석출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순서
다음은 금속의 반응성이 큰 순에서 작은 순으로 차례대로 나열한 것이다.[1][2][3]
6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금속의 성질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 반응성 증가
-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쉽다.
- 부식되거나 변색되기 쉽다.
- 다른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 환원성이 높아진다. (강한 환원제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