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기능장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능장(技能長, Master Craftsman)은 1973년 12월 31일 국가기술자격법 제정으로 생겨난 대한민국국가기술자격이다. 기능장의 역할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역사

본래 기능장은 기능사의 한 등급이었으나, 1999년 3월 28일 기술계/기능계 구분 폐지로 기능사에서 분리되었다.

응시 자격

기능장은 관련 경력이 있어야 응시할 수 있는데, 요구 경력은 다음과 같다.[1][2]

자세한 정보 구분, 필요경력 ...
  • 실무경력은 동일 및 유사직무분야만 인정된다.
  • a 자격 취득 이후의 경력만 인정.

시험 및 취득 방법

먼저 필기 시험을 거쳐야 하고, 필기 시험에 합격하면 다시 실기 시험을 거쳐야 한다. 실기 시험에서 합격하면 해당 자격에 대한 자격증이 교부되어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필기 시험

  • 필기 시험은 4지 선다형의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문항 수는 60개이고 100점 만점이다.
    • 과목별 점수에 관계 없이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으로 처리된다.
  • 필기 시험 합격 유효 기간은 2년이며, 그 기간 이내에 실기 시험 원서를 접수하여야 한다.

제출 서류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데, 제출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다.

  • 학력 : 졸업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 재학증명서, 재적증명서, 수료증명서 등
  • 경력 : 경력증명서(담당업무가 상세히 기재된 것에 한함), 4대보험 가입증명서(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중 택1), 자영업인 경우 사업자등록증명원 1부 등
  • 학력으로 제출할 경우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 단, 기간내에 제출하지 않았거나 응시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 최종적으로 불합격 처리된다.

실기 시험

  • 실기 시험은 작업형과 필답형, 그리고 복합형이 있다.
  • 필기와 마찬가지로 100점 만점이고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으로 처리된다.

연간 검정 횟수

  • 기능장은 1년에 2회의 정기 검정이 시행된다.

검정 종목

모두 29개의 종목이 있으며, 1부와 2부의 구분 없이 함께 치러진다.

2024년 현재 기준으로 삼는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자세한 정보 자격 이름, 비고 ...
Remove ads

통계

자세한 정보 연도/현황, ~2018년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