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기-컨커디아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기-컨커디아역map
Remove ads

기-컨커디아역 (Station Guy-Concordia)은 몬트리올 지하철녹색 선 정차역이다. 1966년 10월 14일에 개통한 이 역은 지하철 개통 첫 날에 동시에 개통하였다. 이 역은 컨커디아 대학교와 연결되어있으며, 몬트리올 지하철에서 베리-UQAM, 맥길 다음으로 세 번째로 승객이 가장 많은 역으로, 2019년 기준 1020만여 명이 이용하였다.

간략 정보 기-컨커디아Guy-Concordia, 개괄 ...
Remove ads

역 구조

역 개선 공사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승강장 벽에 황적색의 타일이 설치되었는데 이 타일은 흰색 세라믹 타일과 다채로운 색상의 모자이크 타일로 교체되었고 바닥은 흰색 석재 타일로 바뀌어 더욱 현대적인 느낌을 주었다.

J. A. 치코안이 설계한 이 역은 일반 상대식 승강장 역으로, 터널에 익랑과 매표소가 있고 양쪽 끝에 출입구가 위치해있다. 동쪽 출입구에는 각종 상가와 컨커디아 대학교 캠퍼스의 다섯 건물과 연결되어있다. 서쪽 출입구에는 편의점이 있고 평일 러시 아워에 한해 개찰구가 유인으로 운행한다.

기 출입구에는 다양한 상점이 입주해있는데, 팀 홀튼, 중국 식당인 무시외 가오, 벨 피자, 홍콩식 빵집인 코코번, 미용실, 휴대폰 수리점과 과자점, TD 캐나다 트러스트 ATM이 입주해있다.

역사

역 근처의 도로인 뤼 기는 1815년에 장교이자 몬트리올 지역 의원이였던 에티엔 기가 몬트리올시에 부지를 기증하면서 그의 이름을 딴 도로가 지어지면서 생겼다. 1758년에 생긴 생트카트린느가는 1850년대에 기까지 이어졌다.[3] 1892년에 노면 전차가 생트카트린느가를 가로지르면서 이 연선에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한 상가에 생기가 돋았다. 한편 1890년대부터 1910년대 사이에 몬트리올 인구 수가 세 배로 늘어나면서 교통 정체는 극심하였고 노면 전차로 출퇴근하던 시민들은 불편을 호소하였다. 이에 따라 노면 전차를 지하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1944년 몬트리올 노면 전차 운영사였던 몬트리올 노면전차 회사 (Montreal Tramway Company)는 생트카트린느가를 따라 앳워터에서 파피노까지 이어지는 지하철 노선을 구상하였지만 이는 결실을 맺지 못했다.[4] 1953년에는 새로운 공기업인 몬트리올 교통위원회가 생드니, 생자크, 생트카트린느의 노면 전차를 지하철로 대체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몬트리올 시의원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했다.[4]

지하철이 공식적으로 확정된 것은 1961년 11월 3일, 몬트리올 시의회가 길이 16km의 지하철을 짓기로 한 때였고 공사는 이듬해 5월 23일에 시작하였다. 1966년 10월 14일에 기-컨커디아역이 개통하면서 생트카트린느가의 노면 전차는 운행을 중단하였다. 개통 당시 '기' (Guy) 역으로 개통한 이 역은 이후 1974년에 로욜라 대학과 조지 윌리엄스경 대학교가 컨커디아 대학교로 통합되었고 1988년 1월 1일에 이 대학교 이름을 따서 오늘날의 이름으로 자리잡았다.[5]

2012년 3월, 생마티유 출입구에 새로운 바닥, 천정, 벽, 조명은 물론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었다. 에스컬레이터도 교체되었고 출입구에는 자동문이 설치되었다. 이후 기 출입구에도 새로운 바닥, 천정, 벽 타일이 설치되었고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하기 위해 네 개의 개찰구를 추가하였다.[6]

Remove ads

버스 연결편

요약
관점

기-컨커디아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 편은 아래와 같다.

  일반 버스
  평일 최대 10분 간격 운행 버스
  급행 버스
  심야 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종점 ...
Remove ads

각주

인접한 역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