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긴가슴신경

상지의 긴 신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긴가슴신경
Remove ads

긴가슴신경(long thoracic nerve, external respiratory nerve of Bell, posterior thoracic nerve) 또는 장흉신경(長胸神經) 은 앞톱니근에 분포하는 신경이다.

간략 정보 긴가슴신경, 정보 ...

구조

긴가슴신경은 C5, C6, C7 척수신경앞가지에서 시작된다.[1][2][3] C7에서 나오는 뿌리는 종종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4] C5와 C6에서 나오는 뿌리는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고, C7 뿌리는 중간목갈비근 앞쪽을 주행한다.

긴가슴신경은 목겨드랑관을 따라 밑으로 내려간다. 팔신경얼기,[3] 겨드랑동맥, 겨드랑정맥의 뒤쪽에 위치한다.[4] 아래쪽으로 주행하며 빗장뼈 깊은 쪽에 오게 된다.[2] 그 후 앞톱니근의 바깥쪽 면에 놓이게 되고 가슴의 측면을 따라 주행하여 앞톱니근의 아래쪽 경계에 이른다.[5][6] 긴가슴신경은 앞톱니근 각각의 근육가지에 분포한다.[5][6]

기능

긴가슴신경은 앞톱니근을 지배한다.[1] 앞톱니근은 어깨뼈를 내미는 작용을 하며, 이런 움직임은 펀치를 내지르거나 할 때 나타난다. 또한 등세모근의 위쪽, 아래쪽 부분과 협동하여 어깨뼈를 위쪽으로 돌리는 작용을 하며, 이 움직임은 물건을 머리 위로 올릴 때 일어난다.[7]

임상적 중요성

긴가슴신경은 길고 비교적 얕은 곳에서 주행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외상이나 신장(stretch)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8] 손상의 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신경의 병변.[3]
  • 여러 가지 스포츠로 인한 부상.
  • 어깨와 가슴 부위의 수술.[9] 유방암 치료를 위해 겨드랑림프절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10]
  • 무거운 물건을 어깨 위로 오랜 시간 들어올릴 때 손상될 수 있다.[11]
  • 파르소니지 터너 증후군(Parsonage Turner Syndrome).[12]
  • 외상이나 감염.[9]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 만일 증상이 있다면 어깨 뒤쪽에 작열통을 느끼기도 한다. 특히 병변에 의한 일부 손상의 경우 앞톱니근을 마비시켜 날개어깨뼈의 원인이 된다.[3][13] 팔이 앞쪽으로 들어 올려지거나 환자가 팔을 뻗어 벽을 밀 때 가장 잘 나타난다. 그러나 수 주 뒤 등세모근이 충분히 신장하여 손상이 있다는 것을 밝히기 전까지는 날개어깨뼈가 나타나도 긴가슴신경이 손상되었다고 분명히 말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14]

추가 이미지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