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근수 (1912년)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1912–1992)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근수(金根洙, 1912년 9월 17일(1912-09-17) ~ 1992년 1월 30일(1992-01-30))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간략 정보 김근수金根洙, 임기 ...
Remove ads

생애

관향과 별칭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호(號)는 진양(晉陽), 일명은 김석(金石)·왕석(王碩)이다.

일생

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한 그는 1931년 국민정부 시대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로 건너가 1931년에서 1940년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무국 비서관 직책을 거쳐 1940년 대한광복군(大韓光復軍)에 가담하여 항일 독립 투쟁을 전개하였다. 대한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국민정부 시대 중화민국 쓰촨 성 충칭(重慶)에서 조직된 이후 1945년 8·15 조선국 광복 때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휘하에서 활동을 한 대표적인 항일 독립 운동 군대이다.

그는 대한광복군 제1지대 시절 국민정부 시대 중화민국 대륙 본토 산시(山西)·화베이(華北) 지구 등지에서 지하 공작 작전 등에 가담을 하는 등 일제 강점기 시대 말기 항일 독립 운동에 앞장을 섰다. 1945년 8월 15일 중화민국 광둥 성 광저우에서 일본국 패망과 조선국 광복을 목도하였고 1946년 5월 13일에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땅으로 귀국 및 귀환을 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 최용덕 국방부 차관의 특임행정보좌관 직책을 잠시 지냈으며 1955년에서 1956년까지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직을 잠시 지냈다. 그 후 1958년 충청남도 도지사 직무대행 서리 직책도 잠시 지냈다.

그의 유해는 대한민국 국립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Remove ads

서훈

그는 1977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포장을, 1990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각각 받았다.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