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보영 (소설가)
과학 소설 작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보영(1975년 ~ )은 대한민국의 과학 소설 작가이다.
1998년 게임 제작팀 '가람과 바람'에 합류하여 RPG 게임 개발자 겸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했다. 《씰》, 《나르실리온》, 《씰 온라인》 등의 게임 시나리오를 집필했으며 《레이디안》에서는 그래픽을 담당했다.[1]
2004년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중편소설 부문에〈촉각의 경험〉이 당선되어 작가로 데뷔했다. 환상문학 웹진 거울에서 초기 작품 활동을 했다. 2008년 2월에는 《필름2.0》에서 선정한 ‘탈권위 무경계 신세대 문화전위 13인’에 선정되기도 했다.[2]
2010년 개인 단편선 《멀리 가는 이야기》, 《진화신화》를 발간했다. 2014년 《7인의 집행관》으로 제 1회 SF어워드 장편부문에 당선되었다.
Remove ads
작품 및 저작
중 · 단편 소설
- 〈촉각의 경험〉 - 2002년, Junk SF / 2004년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중편소설부문 수상
- 〈다섯 번째 감각〉 - 2002년, Junk SF
- 〈미래로 가는 사람들〉 - 2004년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본선 진출
- 〈우수한 유전자〉 - 2004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19호
- 〈종의 기원〉[3] - 2005년 3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22호
- 〈몽중몽〉 - 2006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36호
- 〈땅 밑에 (1부)〉 - 2006년 6월, 웹진 크로스로드
- 〈땅 밑에 (2부)〉 - 2006년 7월, 웹진 크로스로드
- 〈진화신화〉 - 2006년 11월, 《Happy SF》 2호
- 〈거울애〉 - 2007년 5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48호
- 〈뽀뽀할 상대가 없어〉 - 2007년 12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54.5호 (성탄 특집 초단편)
- 〈스크립터〉 - 2008년 11월, 문장 글틴
- 〈0과 1사이〉 - 2009년 2월, 웹진 크로스로드
- 〈노인과 소년〉 - 2009년 6월, 네이버 오늘의 문학
- 〈신문이 말하기를〉 - 2010년 6월, 환상문학웹진 거울 85호
- 〈전송 오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011년, 《과학동아》 2011년 11월호
- 〈이사가는 날〉 - 2012년, 《과학동아》 2012년 3월호
- 〈단추 채우기〉 -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2월호
- 〈새벽기차〉 - 2013년, 《과학동아》 2013년 6월호
- 〈저 이승의 선지자 (1부)〉 - 2013년 12월, 웹진 크로스로드
- 〈저 이승의 선지자 (2부)〉 - 2014년 1월, 웹진 크로스로드
- 〈An Evolutionary Myth〉 - 2015년 5월, Clarkesworld 104호 (〈진화신화〉의 영어판)
- 〈빨간 두건 아가씨〉 - 2017년 3월, 《한겨레》
- 웹진 거울에서는 본명과 함께 'ida'라는 필명을 사용하며, 웹툰 발표시에는 '보이다'라는 필명을 사용.
공동 작품집
일반 단행본
-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 2004년 12월, 동아사이언스. 220쪽, ISBN 9788995599709
- 〈촉각의 경험〉 (중편소설 부문 수상작)
- 《2006 과학기술 창작문예 수상작품집》- 2006년 11월, 동아사이언스. 276쪽, ISBN 9788991844308
- 〈우수한 유전자〉 (초청작품)
- 《누군가를 만났어》- 2007년 1월, 행복한책읽기. 526쪽, ISBN 9788989571445
- 〈종의 기원〉
- 〈미래로 가는 사람들〉
- 〈첫 번째 이야기: 起 ─ 우주의 끝을 찾아내는 법〉
- 〈두 번째 이야기(혹은 첫 번째 이야기): 承 ─ 하늘에서 내려온 이들이 해야 할 일〉
- 〈세 번째 이야기: 轉 ─ 광속도에서 일어나는 일〉
- 〈네 번째 이야기: 合 ─ 네 번째의 축으로 가는 법〉
-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 2007년 11월, 창비. ISBN 9788936456054
- 〈마지막 늑대〉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얼터너티브 드림》- 2008년 12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0261
- 〈땅 밑에〉
- 《한국 환상문학 단편선》- 2008년 7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2555
- 〈몽중몽〉
- 《U, ROBOT》- 2009년 2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1923
- 〈다섯 번째 감각〉
- 《죽은 자들에게 고하라》- 2009년 7월, 해토. ISBN 9788990978806
- 〈0과 1 사이〉
- 《커피 잔을 들고 재채기》- 2009년 9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2739
- 〈노인과 소년〉
- 《백만 광년의 고독》- 2009년 12월, 오멜라스. ISBN 9788901103020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독재자: SF/환상문학 테마 단편선》 - 2010년 11월, 뿔(웅진문학에디션). ISBN 9788901114859
- 〈신문이 말하기를〉
- 《이웃집 슈퍼히어로》 - 2015년 3월, 황금가지. ISBN 9788960175501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 2017년 8월, 한겨레출판사. ISBN 9791160400915
- 〈얼마나 닮았는가〉
- 《근방에 히어로가 너무 많사오니》 - 2018년 9월, 민음인 ISBN 9791158884314
- 〈로그스 갤러리, 종로〉
웹진 거울 단편선
- 2006 환상문학웹진 거울 중단편선 《변신!》 - 2006년 11월, 웹진 거울.
- 〈몽중몽〉
- 환상문학웹진 거울 타로카드 단편선 《타로카드 22제》 - 2009년 12월, 웹진 거울.
- 〈노인과 소년〉
기타 출판물
- 《에스콰이어》 2011년 10월호 별책 SF 단편선 《Multiverse》 - 2011년, (주)가야미디어.
- 〈진화신화〉
- 잡지 《에스콰이어》 창간 16주년 기념호 별책부록.
- 작품이 실린 작가들이 릴레이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소개하는 서문을 집필했는데, 김보영은 곽재식의 〈읽다가 그만두면 큰일 나는 글〉을 담당.
- 호연마을 피망 단편선 《호연피망》 - 2012년 7월, 호연마을.
- 〈같은 무게〉 (김종욱과 공저)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단편집
- 《멀리 가는 이야기》 (거울 개인 단편선 5) - 2005년, 웹진 거울.
- 〈촉각의 경험〉
- 〈다섯 번째 감각〉
- 〈우수한 유전자〉
- 〈종의 기원〉
- 〈종의 기원 ─ 그 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 이 책에서 처음 발표한 신작.
- 〈미래로 가는 사람들〉
- 〈첫 번째 이야기: 起 ─ 우주의 끝을 찾아내는 법〉
- 〈두 번째 이야기(혹은 첫 번째 이야기): 承 ─ 하늘에서 내려온 이들이 해야 할 일〉
- 〈세 번째 이야기: 轉 ─ 광속도에서 일어나는 일〉
- 〈네 번째 이야기: 合 ─ 네 번째의 축으로 가는 법〉
- 추천사
- 각 글에 대한 덧붙임
- 감사하는 분들
- 웹진 거울에서 펴낸 개인지. 2005년에 북토피아에서 전자책으로 간행되었다가 2008년 7월에 종이책으로 한정발매되었다. 이후 간행된 동명 단편집과 작품 구성은 동일.
- 작가의 발견 3 《멀리 가는 이야기》- 2010년 6월, 행복한책읽기. ISBN 9788989571650
- 〈촉각의 경험〉
- 〈다섯 번째 감각〉
- 〈우수한 유전자〉
- 〈종의 기원〉
- 〈종의 기원 ─ 그 후에 있었을지도 모르는 이야기〉
- 〈미래로 가는 사람들〉
- 〈첫 번째 이야기: 起 ─ 우주의 끝을 찾아내는 법〉
- 〈두 번째 이야기(혹은 첫 번째 이야기): 承 ─ 하늘에서 내려온 이들이 해야 할 일〉
- 〈세 번째 이야기: 轉 ─ 광속도에서 일어나는 일〉
- 〈네 번째 이야기: 合 ─ 네 번째의 축으로 가는 법〉
- 해설 : 본격 SF의 탄생 (김상훈)
- 작가의 말
- 작가의 발견 4 《진화신화》- 2010년 6월, 행복한책읽기. ISBN 9788989571667
- 〈진화신화〉
- 〈땅 밑에〉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 〈몽중몽〉
- 〈거울애〉
- 〈0과 1 사이〉
- 〈마지막 늑대〉
- 〈스크립터〉
- 〈노인과 소년〉
- 추천사 : 논리와 고적(孤寂)한 환상의 교점에서 (김상훈)
- 작가 코멘터리
- 작가의 말
- 《저 이승의 선지자》 - 2017년 6월, 아작 ISBN 9791187206545
- 〈저 이승의 선지자〉
- 〈새벽기차〉
- 〈그 하나의 생에 대하여〉
- 《얼마나 닮았는가》 - 2020년 10월, 아작 ISBN 9791165508845
- 〈엄마는 초능력이 있어〉
- 〈0과 1 사이〉
- 〈빨간 두건 아가씨〉
- 〈고요한 시대〉
- 〈니엔이 오는 날〉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 〈로그스 갤러리, 종로〉
- 〈걷다, 서다, 돌아가다〉
- 〈얼마나 닮았는가〉
- 〈같은 무게〉
- 《다섯 번째 감각》 - 2022년 2월, 아작 ISBN 9791166686603
- 〈지구의 하늘에는 별이 빛나고 있다〉
- 〈땅 밑에〉
- 〈촉각의 경험〉
- 〈다섯 번째 감각〉
- 〈우수한 유전자〉
- 〈마지막 늑대〉
- 〈스크립터〉
- 〈거울애〉
- 〈노인과 소년〉
- 〈몽중몽〉
장편소설
- 《7인의 집행관》 - 2013년 1월, 폴라북스. ISBN 9788993094831
- 2008년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2009년 교보문고 디키스토리에서 일부분을 연재.
- 제1회 SF어워드 장편소설부문 최우수상 수상.[4]
-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 2015년 5월, 기적의책. ISBN 9788996103158
에세이
- 〈진실 없는 세상…"망원경으로 과거를 볼 수 있다면?"〉 - 프레시안, 2009년 7월
- 〈'SF, 미래에서 온 이야기' <1>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3원칙〉 - 한국일보, 2017년 3월
- 〈'SF, 미래에서 온 이야기' <3>제임스 팁트리 주니어가 통찰한 여성혐오〉 - 한국일보, 2017년 3월
웹툰
- 폴라북스 공식 블로그에 '보이다'라는 필명으로 출간 SF소설 소개 웹툰을 게재.
- 온우주 출판사 소식지에 '보이다'라는 필명으로 4컷만화 게재.
영화 대본
Remove ads
참고 문헌
- 〈《U, ROBOT》 작가와의 만남〉, SF무크지 《미래경》 Vol.1, 208~216쪽, 2009년 7월, SF&판타지도서관.
- 〈작가와의 만남 : 김보영〉, SF무크지 《미래경》 Vol.2, 378~401쪽, 2010년 8월, SF&판타지도서관.
- 2010년 6월 12일에 SF&판타지도서관에서 개최된 작가 좌담회 녹취록.
- 정도경, 〈존재의 재발견 ― 김보영 작가론〉, 《B평 : 2011 환상문학웹진 거울 비평선》, 88~111쪽, 2011년 11월, 웹진 거울.
- '존재'와 '가능성'이라는 2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작가론.
- 복도훈, 〈데카르트의 SF적 후예들―배명훈과 김보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LIST》 제20호, 2013년 여름, 한국문학번역원.
- 《7인의 집행관》, 《진화신화》, 《멀리 가는 이야기》를 소개.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