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복한

조선의 문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복한(金福漢, 1860년 7월 24일 ~ 1924년 5월 2일)은 조선의 문신·유학자, 구한말의 의병장으로 자는 원오(元五), 호는 지산(志山), 본관은 (신)안동(安東)이다. 병자호란 때 강화성에서 순절한 문충공 선원 김상용의 12대손이며 이조참판 수북 김광현의 후손으로 수북공파의 종손이다. 충청남도 홍성군 출생[1]. 단발령에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켰고, 이완용 등의 처단을 요구하며 의병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어 투옥당하였다. 한일합방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1919년 3월 유림(儒林) 대표로 곽종석(郭鍾錫) 등과 함께 파리강화회의에 조선의 독립을 요구하는 독립청원서를 발송하였다.

간략 정보 김복한金福漢, 본명 ...
Remove ads

김복한의 법정진술

나는 대대로 녹을 받은 신하의 후손[7]으로 임금의 두터운 은혜를 입어 평소 죽음으로써 나라에 보답할 것을 마음 속에 간직하고 있었다. 갑오년(1894년) 6월 이후에는 시골에 칩거하여 평생 자정(自靖[8])하고자 하였더니, 지난해(1895년) 8월의 대변(大變)에 이르러서는 원통하고 통분함을 이기지 못하여 조금도 살 마음이 없던 중, 다시 11월 15일의 사변(事變)이 일어났다. 이 역시 흉악한 역신들의 소행이 아닐 수 없다. 임금의 욕됨이 이미 극에 달하였으니 신민(臣民[9]) 된 자의 박절(인정이 없고 쌀쌀하다)한 정이 격동하여 시세와 역량도 헤아리지 못하고 복수하고 설치(雪恥-치욕을 갚음)할 계획을 세우고 의병을 일으켰으나 일을 도모함이 치밀하지 못하여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만약 가볍게 일으켰다고 죄를 준다면 달게 받겠다.

- 1896년 2월 25일 김복한의 법정 진술.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충청남도 홍주군 조휘곡의 안동김씨 봉진과 연안이씨 모친 사이에서 태어나 한학을 익혔다. 선생은 문충공 김상용의 12대 종손으로 당색은 노론이었다. 선생의 어린 시절은 불우했다. 여섯 살 때 부친이 죽고 한 해를 넘기지 못한 때 모친마저 세상을 떠났다. 이듬해에는 선생을 돌보던 조부마저 타계한 뒤 종조부 김민근이 거둬 학문을 가르치며 키웠다. 음직으로 벼슬을 시작하였다. 그는 참봉(參奉)을 지내고 순종왕세자 시절 서연관으로 일하였으며, 1892년 별시 과거에 급제하고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가 되었다. 이후 홍문관, 사간원, 성균관, 승정원에서 근무했다. 그 후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대사성·승지 등을 역임했다.[2]

1894년 갑오경장에 반발하여 관직에서 사임한 뒤 낙향했는데, 이듬해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떨어지자 비분강개한 유생들을 모아 홍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이때 이종사촌 형인 이설(李偰)과 안병찬(安炳瓚) 등이 함께 참가했다. 그러나 처음에는 같이 거사하기로 했던 홍주목사 이승우가 마음을 바꿔, 김복한 등이 체포되면서 의병 항쟁은 실패했다. 그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어 복역하였다.

1896년 석방되었다. 이후 대사성(大司成) 등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이후 고종의 특지로 석방된 뒤, 성균관장·중추원의관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고향에서 후진을 키우는 데 힘썼다.[2] 1905년 을사조약 체결 후 이설 등과 이완용(李完用) 등 매국노 처단을 상소하였고, 또다시 이설, 안병찬, 민종식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재차 실패하고 체포되었다. 그는 이때 일본군에게 고문을 당하여 불구가 되었다. 1905년 다시 투옥되었다가, 뒤에 석방되었다.

1906년 참판 민종식(閔宗植)과 함께 충청도 홍주(洪州)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가, 관군에 의해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경무청에 수감되었다. 재판 중 모진 고문을 받았으나 굴하지 않고 을사5적의 처단 요구를 반복하였다. 1910년 국권피탈 후에는 두문불출하였다.

1919년 3월 3·1 운동 때에는 영호남 유림을 규합하여, 유림(儒林) 대표로 곽종석(郭鍾錫) 등과 함께 파리강화회의에 조선의 독립을 요구하는 독립청원서를 발송하였다가 투옥되었다.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으며 90여 일 만에 중병으로 석방되었다. 1921년부터는 사립학원인 인지사(仁智社)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힘썼다.[2]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충청남도 홍성에 위치한 사당 추양사(秋陽祠)에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Remove ads

경술국치 이후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를 당하자, 죄인을 자처해 은거하였다.

그 뒤 1919년에 고종이 승하하고 3.1 운동이 일어나자 안병찬, 곽종석 등 충청도 및 영남의 유림 137명과 함께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내는 독립청원서를 작성하는 데 참여했는데, 이 일로 체포되어 1919년 6월 21일 공주지방법원에서 대구지방법원으로 이송되었으며, 그해 7월 29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공주감옥에서 수 개월 간 옥고를 치렀다.

이후 병으로 형집행정지를 받아 출옥한 그는 병든 몸에도 불구하고 후학들을 양성하고 지역 내 민족운동의 기반이 되는 '인도공의소(人道公議所)'에 참여하는 등 여러 활동을 하다가 1924년 5월 4일 향년 6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사후

그의 묘는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 산수동마을에 있으며, 전처인 연안 이씨(이의익(李毅翼)의 딸, 1855. 7. 2. ~ 1893. 6. 29.)과 후처 청주 이씨(이주찬(李周讚)의 딸, 1882 ~ 1905. 2. 6.[22])과 같이 합장되었고, 해당 묘역은 현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9호로 지정(1984년 5월 17일 지정)되어 있다.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 김복한 묘(金福漢 墓)

한편, 21촌 지간의 족숙(族叔)인 김좌진이 1930년 암살을 당하고 나서 중화민국 길림성 해림현에 임시로 암매장되었다가 부인 오숙근 여사가 1940년 9월 해림현으로 가서 밀감 상자에 김좌진의 유해를 담아 와서 김복한의 묘소 인근에 가명을 써서 암매장했다고 한다.[23]

8.15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건국공로훈장 단장(建國功勞勳章 單章)'(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으며, 후에 지역 유림들과 홍성군에서 묘소 아래에 '추양사(秋陽祠)'를 세워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해마다 제를 지내고 있다. 문집으로는 사후 후손들과 제자들이 편집한 『지산집(志山集)』이 있다.

Remove ads

가족관계

  • 김봉진(金鳳鎭, 1826. 12. 25 ~ 1865. 1. 11) = 연안 이씨(이규(李圭)의 딸, 1824 ~ 1866. 11. 18) → 김상용의 3남 김광현(金光
  • 두 부인 사이에서 3남 3녀를 두었는데, 그 중 세 아들은 부친을 간병하면서 지역 내 민족 항일운동인 '유교부식회(儒敎扶植會)'·신간회 등에 참여했으며, 3남 김명동은 해방 이후 공주군에서 제헌 국회의원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제2대 국회의원 임기 중에 사망하였다.[
    • 김봉진(金鳳鎭, 1826. 12. 25 ~ 1865. 1. 11) = 연안 이씨(이규(李圭)의 딸, 1824 ~ 1866. 11. 18) → 김상용의 3남 김광현(金光炫, 호는 수북(水北), 1584. 9. 22 ~ 1647. 7. 23)의 직계 11대 종손.
      • 김복한 = 연안 이씨(이의익(李毅翼)의 딸, 1855. 7. 2 ~ 1893. 6. 29) = 청주 이씨(이주찬(李周讚)의 딸, 1882 ~ 1905. 2. 6)
        • 김은동(金殷東, 1888. 6. 20 ~ 1945. 6. 24)
        • 김노동(金魯東, 1899. 1 .16 ~ 1958. 12. 20) → 상술한 각주의 내용처럼 23촌 지간의 족숙(族叔)인 김승진(金承鎭, 1841. 7. 22 ~ 1920. 3. 8)에게 양자로 들어간 김복한의 친동생 김교한의 양자로 들어갔다. 김교한이 죽은뒤에 자손이 없어서 이루어진 사후입양이며 지금은 그 입양은 생존자간의 것이 아니므로 무효가 된다. [민법제867조~870조 참조]
        • 김명동(金明東, 1903. 11. 25 ~ 1951. 12. 2) 두 부인 사이에서 3남 3녀를 두었는데, 그 중 세 아들은 부친을 간병하면서 지역 내 민족 항일운동인 '유교부식회(儒敎扶植會)'·신간회 등에 참여했으며, 3남 김명동은 해방 이후 공주군에서 제헌 국회의원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제2대 국회의원 임기 중에 사망하였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자료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