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수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수홍(金壽弘: 1601년~1681년 10월 4일(음력 8월 23일)[1])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작가로 자는 하보(夏甫), 본관은 (신)안동이다. 서인 소속이었으나 복제논쟁서인의 당론을 지지하지 않고 남인의 당론을 따랐으며, 명나라 연호를 사용하자는 송시열과 그 지지자들과는 달리 청나라의 연호를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돈녕부도정 김광환(金光煥)의 아들이며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손자이다.

간략 정보 김수홍金壽弘, 본명 ...

생애

1634년 생원시에 입격, 생원이 되었으며 곧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636년 성균관 유생으로 후금의 사신 용골대(龍骨大)를 참살하고 그 국서(國書)를 소각할 것을 상소하였다.[2] 음보(蔭補)로 기용되어 승지·참판 등을 거쳐, 1681년 지돈령부사가 되었다.

당색으로는 서인이었으나 효종 사후 1659년 제1차 자의대비 복상문제 때, 당론을 따르지 않고 같은 서인 송시열(宋時烈)의 기년제(朞年制) 주장을 지지하지 않고 남인의 복제 주장을 따랐다.[3] 1674년(현종 15) 제2차 자의대비(慈懿大妃) 복상문제 때, 역시 1659년의 제1차 자의대비 복상문제 때와 마찬가지로 자파인 송시열(宋時烈)의 기년제(朞年制) 주장을 지지하지 않고 남인의 복제 주장을 따랐다.[4]

명청 교체기의 중국 연호 사용에서도, 명나라의 숭정(崇禎) 연호 사용을 주장하자는 송시열의 주장에 청나라의 강희(康熙) 연호를 쓰자고 주장했다.[5]

Remove ads

저작

  • 천하고금대총편람도(天下古今大總便覽圖)

가족 관계

  • 고조부 : 김생해(金生海)
  • 증조부 : 김극효
  • 조부 : 김상용(金尙容, 1561 ~ 1637)
  • 조모 : 권개(權愷)의 딸 안동 권씨
    • 부친 : 김광환(金光煥)
  • 외조부 : 이철(李鐵, 1540 ~ ?)
  • 외조모 : 목심(睦諶)의 딸 사천 목씨

기타

1666년에는 중국의 지도인 천하고금대총편람도(天下古今大總便覽圖)를 직접 제작, 편찬하였다. 그의 천하고금대총편람도(天下古今大總便覽圖)는 연대와 저자가 전하는 한국의 근세 고지도 중의 하나이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