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시헌
조선의 문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시헌(金時獻, 1560년 ~ 1613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자징(子徵), 호는 애헌(艾軒)이며, 본관은 (구)안동(安東)이다. 김제갑의 장남이다.
생애
1588년(선조 21)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 · 사간(司諫) · 전한(典翰) · 정언(正言) · 사인(舍人) · 겸보덕(兼輔德) · 집의(執義) 등을 역임하고, 1597년 동부승지·우부승지·충청도 관찰사를 거쳐 대사성에 올랐다. 그 후 대사간·병조 참의·우승지·좌승지 등 역임, 1602년 소모관(召募官)으로 경상도에 갔다가 유생들로부터 호색한다 하여 탄핵을 받고 오위부사직으로 좌천되었다. 그 후 복수사의 종사관으로 신립이 전사한 탄금대를 돌아보고 임진왜란 후의 민심을 달래고 성책(城柵)의 수축을 명했으며, 이듬해 동지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선조가 죽은 후 동치춘추관사로 《선조실록》의 편찬에 참여, 1611년(광해군 3) 예조 참판을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 역학(易學)에 조예가 깊었다.[1][2]
Remove ads
가족 관계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