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우재 (유전학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우재는 행동유전학과 신경회로 연구를 수행하는 생물학자이자 하얼빈 공업대학 생명과학센터(중국)의 교수이다.[1] 그는 모델 생물인 초파리를 이용해 사회성 행동과 시간지각의 유전·신경 기제를 연구했으며, 수컷 초파리의 경쟁자 노출이 교미시간을 연장하는 현상(LMD, longer mating duration)의 회로·신호 경로를 규명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2][3]

간략 정보 직업, 분야 ...

생애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한 뒤,[4] 포항공과대학교에서 2008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1]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잔 연구실(Jan Lab)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고, 2014~2015년에는 같은 곳의 associate specialist로 근무했다.[1][5]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오타와 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독립 연구실을 이끌었고,[1] 2019~2020년에는 한국연구재단 브레인풀(Brain Pool) 초빙사업에 선발되어 공동연구를 수행했다.[6] 2020년부터는 하얼빈 공업대학 생명과학센터 교수(PI)로 부임하였다.[1]

연구

김우재의 연구는 모델 생물의 행동 변화가 어떤 유전 네트워크와 신경회로를 통해 구현되는지를 해부하는 데 초점을 둔다. 그는 수컷 초파리가 경쟁자에 노출될 때 교미시간을 연장하는 적응적 행동(LMD)을 발견·정의하고, 이 현상이 시각 자극만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생체시계·시각·기억 회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억화됨을 보였다.[2] 이어서 LMD의 핵심 회로가 PDF/NPF 뉴로펩타이드 신호축에 의해 매개된다는 사실을 보고하여, 사회적 맥락이 성행동 투자량을 조절하는 분자·회로적 기제를 제시했다.[3][7]

오타와대 재직기에는 초파리의 분 단위 시간지각(interval timing)과 사회성 행동을 연결하는 주제를 확장해 학술 웨비나 및 강연으로 정리하였다.[8] 하얼빈 공업대학 부임 이후에도 생명체의 내부 상태와 짝짓기 행동을 연결하는 신경·펩타이드 회로 주제에 관여했으며,[9] 연구 관심사는 초파리에서 꿀벌 등 사회성 곤충으로도 확장되어 있다.[4]

Remove ads

저술 및 공론 활동

김우재는 생명과학의 역사·방법·정책을 대중에게 알리는 저술과 칼럼을 작성하였다. 장기 연재물인 주간경향 ‘김우재의 플라이룸’ 시리즈에서 과학 생태, 국제협력, 연구평가와 같은 주제를 다루고,[10] 동아사이언스 ‘보통과학자’ 연재에서는 재현성 위기, 통계 문화와 과학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분석했다.[11]

주요 논문

  • Kim, W. J., 등. “Contribution of visual and circadian neural circuits to memory for prolonged mating induced by rivals.” Nature Neuroscience (2012).[2][12]
  • Kim, W. J., 등. “A PDF/NPF neuropeptide signaling circuitry of male Drosophila controls rival-induced prolonged mating.” Neuron (2013).[3][13]
  • Song, Y., Kim, W. J., 등. “SIFa peptidergic neurons orchestrate the internal states and mating behaviours in Drosophila.” PLOS Biology (2025).[9]
Remove ads

평가와 영향

그의 연구는 사회적 상호과정에서 개체의 생식 행동을 어떻게 재조정하는지를 분자·회로·행동 수준에서 통합적으로 보여주어 행동유전학과 사회 신경과학 간의 교량을 확장했다. 또한 대중 칼럼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 중심 문화의 한계를 지적하며 추정통계·효과크기 관점의 확산을 촉구하는 등, 방법·정책 담론을 현장 연구와 연계해 전개했다.[11][10]

학력 및 경력

저서

  • 『플라이룸: 초파리, 사회 그리고 두 생물학』(2018)[4]
  • 『선택된 자연: 생물학이 사랑한 모델생물 이야기』(2020)[14]
  • 『꿈의 분자 RNA』(2023)[15]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