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우평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우평(金佑枰, 1897년 11월 15일~1967년 3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자, 언론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했고, 해방 후 외자구매처장, 제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간략 정보 김우평金佑枰, 출생 ...

1927년 동아일보 기자가 되고 이후 동아일보 조사부장ㆍ경제부장ㆍ정치부장 등을 역임했다. 1935년 3월 만주국 재정부 촉탁에 임용되고, 이듬해 사무관, 1937년 이사관으로 승진했다. 해방 후 귀국, 1946년 미군정 경제고문이 되고, 1947년의 태평양회의, 1948년 UN 한국 정부승인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다녀왔다. 장면 내각에서 제7대 부흥부 장관을 지냈다. 호는 종산(種山), 천주교 세례명은 요셉. 본관은 영광(靈光)이다.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생애 초기

김우평은 1897년 전라남도 여수군에서 김한승(金漢昇)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67년의 신문기사에 의하면 당시 그는 향년 71세라 한다.[1][2] 본관은 영광이고 문경공파이다. 아버지 김한승은 대한제국 때 여수군 주사를 지냈고, 1920년부터 전남도평의회 의원에 당선되어, 3선 연임하였다. 셋째 동생 김관평, 넷째 동생 김백평은 독립운동가였으며 김백평은 1927년부터 베를린대학에서 인류학과 생물학을 공부하고, 이후 의과대학에 진학, 산부인과 전문의로 활동했으며 미국으로 건너갔다.

유학

경성으로 상경하여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304-475(후일의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304-107)에 거주하다가[3], 뒤에 서울 마포구 합정동 285-24번지로 이주했다.

중앙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1919년 일본 센다이의 제이고등학교 제1부 독법문학과에 진학, 1920년 2학년 중퇴하였다. 이후 다시 미국으로 유학,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1925년 오하이오주립대학 경제과를 졸업 후, 뉴욕의 콜롬비아대학 대학원 경제학과에 진학, 1926년 졸업했다.

일제 가점기 활동

1927년 귀국, 동아일보사에 입사, 기자가 되었다. 1927년~1933년 동아일보 기자, 조사부장, 경제부장, 정치부장으로 활동했으며, 신간회 활동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1935년 3월 만주국 재정부 촉탁에 임용되고 1936년 11월 사무관으로 승진했다. 만주국 재정부 근무 중 만주국 협화회(協和會) 조선인민회 분회 상임간사를 겸직했다. 1937년 7월 이사관으로 승진, 만주국 재무부 재무대신관방 이사관으로 전임되었다. 이어 재무대신관방실 자료과장으로 발령받았다.

군정기 활동

해방 후 귀국했다. 1946년 3월 2일 미군정청 경제고문회 비서에 임명됐다.[4] 1946년 3월 14일 미군정청 경제고문의 한 사람에 위촉됐다.[5] 10월 조선경제위원회 위원이었다.[6] 곧 조선경제위원회 사무장에 임명됐다. 1947년 1월 29일 조선중앙경제위원회가 조직되자 사무장대리에 임명됐다.[7] 1월 30일 중앙경제위원회 사무장이 되었다.[8] 1947년 8월 22일 비행기편으로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태평양회의에 조선인대표로 이훈구, 김활란 등과 출발 47년 9월 5일부터 9월 20일 참석하고 귀국했다.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대통령 친선특사단원으로 다녀왔다. 1948년 9월 9일 대통령특사 경제고문으로 특사 조병옥 등과 함께 김포비행장을 출발, 미국, 파리 유엔총회 등에 참석했다.[9]

1948년 12월 7일부터 12월 1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차 국제연합 총회 때, 장면, 조병옥, 장기영, 김활란, 모윤숙 등과 함께 UN한국대표단원이 되어 국제사회를 상대로 대한민국 정부 승인 설득에 참여했다. 1949년 외자구매처장이 되었다. 1949년 7월 22일 임시외자구매분과 위원장에 임명됐다.[10] 1949년 12월 17일 대한전업단 고문이 되었다.[11]

1950년 1월 26일 대 일본 무역사절로 일본에 다녀왔다.[12] 2월 16일 다시 대 일본 무역사절로 일본 동경을 방문, 한국물품구매사절단을 구성하고 귀국했다.[13] 1952년 2월 10일 외자구매청장직을 의원면직하였다.[14] 일설에는 민주국민당원이라는 이유로 쫒겨났다는 설도 있다.[15]

1954년 여수시 제3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제3대 국회의원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55년 11월 민주당 창당에 참여했다. 12월 4일에는 민주당 여수시지구당 조직에 참여, 민주당 여수시지구당 대표최고위원에 선출됐다.[16][17] 1956년 12월 9일에는 민주당 여수시당, 여천시당 임원을 개선할 때, 민주당 여천군지구당 위원장이 되었다.[18]

1957년 8월 29일 민주당 여천군지구당 위원장이 되었다.[19] 1958년에는 민주당 공천으로 여천군에서 제4대 국회의원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60년 5월 제5대 국회의원 총선에 여수시에서 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해 당선됐다. 1961년 부흥부 장관을 지냈다. 1967년 서울 마포구 합정동 285-24번지 자택에서 사망했다.

Remove ads

약력

학력

평가

선비처럼 얌전한 지성인, 경제면에 탁월한 식견과 이론을 겸비한 能小能大한 爲人이라는 평이 있다.[20]

가족 관계

역대 선거 결과

자세한 정보 실시년도, 선거 ...

관련 항목

주석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