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장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장하(金章河, 1944년 1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한약업 기업가이자 교육인, 시민활동가이다. 호(號)는 남성(南星).[4][5]
생애
경상남도 사천시 정동면 장산리(獐山里) 노천(魯川) 마을에서 태어났으며,[6] 동성중학교를 졸업한 후에 한약방에서 점원으로 머슴살이를 하였다. 해방 이후 처음 시행된 한약사 국가 자격시험(한약업사 자격)에 합격하고 1963년에 당시 사천군 용현면에 남성당한약방을 개업하였다.[7][8] 1973년에 진주시로 한악방을 이전하였으며, 이후 20여 년 동안 모은 돈으로 1983년에 진주 소재 명신고등학교를 설립하고 1991년에 학교를 국가에 헌납하였다.
학교 설립과 운영에 약 100억의 사재가 들어갔으며, 이외에도 각종 장학, 기부, 지원, 선행, 자선사업 및 사회운동 활동 등으로 수많은 인재를 길러내고 각종 시민단체, 인권단체, 지역 공동체, 언론업체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거나 명맥을 이어나가는 데 도움을 주었다. 특히 2000년에 설립했던 남성문화재단을 2021년에 해산하면서 당시 재단에 남은 기금까지 모두 경상국립대학교 발전 기금으로 기탁하였다.
Remove ads
학력
경력
- 1959년, 삼천포 소재 남각당한약방 점원 취업[14]
- 1962년 7월 24일, 한약업사(한약종상) 시험 합격[15]
- 1963년, 한약업사 면허 발급[16] 및 남성당한약방(南星堂韓藥房) 개업[17]
- 1978년 4월 28일, 모교 정동초등학교에 세종대왕 동상과 충무공 이순신 동상을 건립 기증
- 1982년 8월, 학교법인 석은학원(石隱學園) 인수[18]
- 1983년 12월 23일, 학교법인 명칭을 석은학원에서 남성학숙(南星學塾)으로 변경
- 1984년 3월 2일, 진주시 초전동에 명신고등학교(明新高等學校) 개교[19][20]
- 1989년 8월 17일, 명신고등학고 국가 기증 선언 (1991년 9월 1일 공립으로 전환, 남성학숙 일체 국가 기증)[21][22]
- 1990년, 《진주신문(晉州新聞)》 주주 및 이사[23]
- 1990년대, 대안문화예술공간 책마을 후원[24]
- 1992년 ~ 2004년, 형평운동기념사업회(衡平運動紀念事業會) 이사장[25]
- 1994년, 진주 지역 신진작가 공모전인 '진주가을문예' 출범 후원[26]
- 1996년 ~ 2000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진주지부 이사장[27]
- 1996년 2월, 경상대발전후원회장 취임[28]
- 1998년 진주극단 현장[29] 공연장 마련 비용 3천 만원 지원
- 2000년 3월, 재단법인 남성문화재단(南星文化財團) 설립 (이사장 취임)
- 2005년, 사단법인 진주문화연구소 이사
- 2005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인명록 - 진주지역 관공리·유력자》 출판 후원
- 2013년 9월, 산청엑스포조직위원회에 1814년 간행본 추정 《동의보감》 25권 25책 기증[30]
- 2021년, 재단법인 남성문화재단 해산 (잔여재산 일체를 경상국립대학교 발전기금재단에 기탁)[31]
- 2022년 5월 31일, 남성당한약방 영업종료
- 남명학연구(南冥學硏究) 후원회장
- 경상국립대 남명학관 건립추진위원장
- 지리산생명연대 공동대표
- 진주오광대보존회 후원회장
- 진주문화사랑모임 부회장
- 진주환경운동연합 고문
상훈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