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map
Remove ads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金泉 古方寺 阿彌陀如來說法圖)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5년 3월 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54호로 지정되었다.[1]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1688년에 조성된 고방사의 후불화로서, 敏圓을 수화승으로 하여 竹䕺, 竟粲, 覺林 등 총 4명의 화승이 그렸다. 수화승 민원은 17세기 후반에 활약한 화승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이 작품이 유일하여 작품의 가치를 한 층 높여준다. 보조화원 각림은 1656년에 조각승 무염과 더불어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오백나한상을 조성하였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에 아미타불과 8대보살, 용왕과 용녀, 10대제자 중 6제자, 사천왕, 팔부중 일부 등을 배치한 간단한 구성을 보여준다. 본존의 키형 광배를 비롯하여 높은 육계표현, 천공 바탕에 표현된 花紋, 채운의 끝부분에 흰색을 칠해 강조하는 기법, 불보살을 제외한 존상 얼굴에 바림을 이용한 음영법 등 17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1]

Remove ads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