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호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호민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및 생명과학과 교수이자 생물학자이다. 2018년부터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바이오분자 및 세포구조 연구단에서 단백질 커뮤니케이션 그룹의 연구책임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World Research Hub Initiative의 일환으로 도쿄 공업대학에서 방문 교수로 재직하였다.[1]
Remove ads
학력
김호민의 과학에 대한 공식적인 학문적 여정은 동지중학교와 경북과학고등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1993년에 입학하였다. 그는 2년 만에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2]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에 진학하여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의 지도 교수는 유욱준과 이지오였으며, 유욱준 교수는 김호민의 박사 과정 학비를 지원하였다.[3]
경력
그는 총 세 차례의 박사후 연구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처음 두 번은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이루어졌다. 2005년부터 생명의과학연구센터에서 유욱준 교수 아래에서 연구하였고, 이후 화학과에서 이지오 교수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마지막 박사후 연구 과정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생물물리학 및 생화학과에서 정이판(Cheng Yifan) 교수의 지도 아래 수행하였다.2011년, 그는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GSMSE)에 질환 분자 생화학 연구실(Disease Molecule Biochemistry Lab)을 설립하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다.[4] GSMSE에서 그는 조교수로 임용된 후 부교수로 승진하였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및 바이오세기연구소(KI for Biocentury)에서 겸임 교수로도 활동하였다.[5]
2018년 12월, 그는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신설된 바이오분자 및 세포구조 연구단에서 단백질 커뮤니케이션 그룹의 연구책임자로 선정되었다.[6] 그의 연구 그룹은 구조생물학 기법과 생화학 및 세포생물학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면역 반응과 시냅스 형성에 관련된 다양한 단백질 복합체의 분자적 기작을 연구하였다.[7] 연구 그룹의 네 가지 핵심 연구 시설로는 단백질 발현 코어(Protein Expression Core), 고성능 극저온 전자현미경 코어(High-performance Cryo-EM Core), 단백질 결정화 코어(Protein Crystallization Core), 그리고 극저온 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위한 컴퓨팅 코어(Computing Core for Cryo-EM Image Processing)가 있었다.[8]
Remove ads
수상 및 영예
- 2018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9][10][11]
- 2018년: 아산의학상. 아산사회복지재단[12][13][14]
- 2018: 젊은과학자상, 한국과학기술한림원[15]
- 2017: KAIST Top 10 Representative Researches Award, 한국과학기술원
- 2017: Award for Academic Excellence, 한국과학기술원
- 2015: Ewon Assistant Professor, 한국과학기술원
- 2009: 아가월상, BMRC, 한국과학기술원[16]
- 2007: 젊은의학자상, 대한민국 과학기술부[17][18][19]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