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효은 (1967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효은(Hyoeun Jenny Kim)은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외교관으로, 2016년부터 세네갈 대사를 지냈으며,[1] 2018년 국제기구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GGGI) 사무차장(Deputy Director‑General)으로 선임되었고,[2][3] 2021년부터 외교부 기후변화대사(Deputy Minister & Ambassador for Climate Change)를 맡아 대한민국의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협상 수석대표를 겸하였다.[4][5]

간략 정보 대사김효은김효은, 출생명 ...
간략 정보 김효은 ...
Remove ads

생애와 교육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6]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제26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였다.[7] 이후 미국 시애틀의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를 취득하였다.[8]

외교관 임용과 초기 경력

1992년 외무부에 입부한 뒤 주유엔대표부와 주루마니아대사관에서 외무관·서기관으로 근무하였다.[9] 본부에서는 지역협력과, 세계무역기구과 등 다자통상 직위를 거쳤다.[9]

다자 통상 및 경제외교

2000년대 중반 세계무역기구과장 등 통상 분야 보직을 맡아 APEC 및 WTO 관련 현안을 담당하였다.[10] 2005년에는 APEC 예산운영위원회(BMC) 부의장으로 활동하였다.[11] OECD 무역·환경 공동회의(Joint Working Party on Trade and Environment) 부의장을 역임하였다.[12]

기후변화 외교와 제도 구축

2008년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 기후변화환경과장으로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UNFCCC 틀 내 협력 업무를 수행하였다.[13] 이후 본부 기후변화 관련 조직에서 팀장으로 일하며 국내외 협력을 조정하였다.[14]

국제기구 경영(GGGI)

2013년부터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에서 기획정책국장을 맡아 2015–2020 전략 수립과 거버넌스 개편을 주도하였다.[12] 2018년 1월 GGGI 사무차장(녹색성장 기획·이행부문)으로 선임되어 30여 개국 현장사업을 총괄하였다.[2][3] 외교부는 2018년 GGGI 사무차장 선발을 발표하며 국제기구 고위직에서의 역할 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15]

아프리카 외교와 주세네갈 대사

2016년 주 세네갈 대한민국 대사로 부임하여 마키 살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였다.[16] 대사 재임 중 어업·식수위생 등 개발협력 사업을 지원하고 현지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17] 2018년 5월 이임하였다.[18]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2021년 7월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로 임명되어 한국 정부의 기후협상 수석대표를 맡았다.[4] 한-베트남 기후변화 협력 공동위원회 등 양자 협력체를 공동 주재하였다.[19] 2023년 플라스틱 오염 종식 국제협약(INC) 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가하였고,[20] 2023년 말 COP28 계기 캐나다와 환경·기후 협력 MOU 체결을 공동 발표하였다.[21] 로이터와 가디언은 2024년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계기로 한국의 기후법·목표 보완 필요성을 지적하는 보도를 내보냈다.[22][23]

정책적 관점과 전략

김효은은 녹색성장과 NDC 이행을 연계하는 ‘성장과 감축의 동시 추구’ 접근을 강조하며 GGGI에서 현장사업과 정책자문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였다.[3][24] 기후대사 재임 중에는 UNFCCC 교섭 수석대표로서 다자·양자 채널을 병행하고, 민관 파트너십·기술 협력·금융 연계를 외교 의제로 확장하였다.[5][25]

경력

  • 1992년: 제26회 외무고시 합격; 외무부 입부[26]
  • 1998년: 주유엔대표부 외무관(2등서기관)[9]
  • 2001년: 주루마니아대사관 외무관(1등서기관)[9]
  • 2004~2006년: 외교통상부 지역협력과 외무관[9]
  • 2005년: APEC 예산운영위원회(BMC) 부의장[27]
  • 2006년: 외교통상부 다자통상국 세계무역기구과 과장[28]
  • 2008~2009년: 외교통상부 기후변화환경과 과장; 기후변화팀 팀장[29]
  • 2010년: 주 OECD 대한민국대표부 참사관[9]
  • 2013~2016년: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기획정책국장[12]
  • 2016~2018년: 주 세네갈 대사 (겸임국 다수)[9]
  • 2018~2021년: GGGI 사무차장(녹색성장 기획·이행부문)[2][3]
  • 2021년~ :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차관보 겸직)[4]

주요 활동

  • 세네갈 어업·수산물 냉장유통 지원 등 현지 협력 사업을 추진하였다.[30]
  • 한‑베트남 기후변화 공동위원회 구성 및 회의를 공동 주재하였다.[31]
  • COP28 계기 한‑캐나다 환경·기후 협력 MOU 공동 발표에 참여하였다.[32]

저서

  • 《외교관은 국가대표 멀티플레이어》 (럭스미디어, 2008)[33]
외교관의 직무와 준비 과정을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다자외교의 협상 방식과 조직 운영을 일상적 언어로 풀어낸다. 외교관을 꿈꾸는 학생과 초임 공무원을 위한 실용 안내서다.
  • 《청춘, 국제기구에 거침없이 도전하라》 (엘컴퍼니, 2013)[34]
국제기구 진출 절차와 경력 설계를 구체적 사례로 제시한다. UN·OECD·APEC 등에서 필요한 역량을 실무 관점으로 정리한다. 국제협력 분야 진출을 모색하는 청년층을 독자로 상정한다.

평가

  • 서울신문은 2008년 서적 소개 기사에서 그를 ‘외교통상부에서 손꼽히는 여성 다자외교 전문가’로 묘사하였다.[35]

연표

연표 (펼치기)
자세한 정보 연도, 사건 ...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