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꼭지근

심장의 심실에 위치하는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꼭지근
Remove ads

꼭지근[1](papillary muscle) 또는 꼭지근육 또는 유두근(乳頭筋)은 심장심실에 위치하는 근육이다. 방실판막(승모판삼첨판)의 첨판에 힘줄끈을 통해 붙어 있는 근육으로, 심실의 수축기 동안 꼭지근은 수축하여 판막이 뒤집히거나 탈출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2] 꼭지근은 총 심장 질량의 10% 정도를 차지한다.[3]

간략 정보 꼭지근, 정보 ...
Remove ads

구조

심장에는 우심실에 3개, 좌심실에 2개로 총 5개의 꼭지근이 존재한다. 우심실의 꼭지근은 앞, 뒤, 사이막꼭지근(anterior, posterior, septal)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힘줄끈을 통해 삼첨판에 붙는다. 좌심실의 꼭지근에는 앞가쪽과 뒤안쪽(anterolateral, posteromedial) 꼭지근이 있으며 힘줄끈을 통해 승모판에 붙는다.[4][5]

혈액 공급

승모판에 연결된 꼭지근은 앞가쪽과 뒤안쪽 꼭지근으로 불린다.[6]

  • 앞가쪽 꼭지근의 혈액 공급은 왼앞내림동맥(LAD)의 가지인 대각가지(diagonal branch)와 왼휘돌이동맥(LCX)의 가지인 왼모서리가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 뒤안쪽 꼭지근의 혈액 공급은 오른관상동맥(RCA)의 가지인 뒤심실사이동맥에 의해 이루어진다.

뒤안쪽 꼭지근의 혈액 공급은 오직 한 동맥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열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장소가 뒤안쪽 꼭지근이다. 오른관상동맥 폐쇄가 꼭지근 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6]

Remove ads

기능

우심실과 좌심실의 꼭지근은 모두 수축기 직전부터 수축하기 시작하여 수축기 내내 긴장을 유지한다.[2] 꼭지근은 수축하여 방실판막이 제자리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아, 심실의 혈액이 심실 내의 높은 압력 때문에 다시 심방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2]

임상적 중요성

심근 경색으로 인해 꼭지근이 파열될 수 있으며, 허혈로 인해 꼭지근의 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두 합병증 모두 승모판 역류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7]

추가 이미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꼭지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