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나다니엘 테일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나다니엘 테일러
Remove ads

나다니엘 테일러(영어: Nathaniel W. Taylor, 1786년 ~ 1858년)는 미국의 신학자이다.

간략 정보 나다니엘 테일러Nathaniel W. Taylor, 출생 ...
Thumb
나다니엘 테일러 초상화

코네티컷주 밀포드 태생으로 1800년 예일대학교에 입학하여 티모시 드와이트와 1806년에 대화 중에 회심하였으며, 1808년부터 두 해동안 그의 집에서 살았다. 그 후 1812년 뉴헤이븐 제일교회에 취임하여 1815년, 1816년, 1820년 내지 1821년 세번의 부흥기를 인도했다.[1] 예일 신학대학교에서 '드와이트교수'로 재직시 그는 미국의 가장 유명한 36의 신학자가 되었다.

Remove ads

도덕정부

테일러의 예일대학교의 강의 중에 '신적 계시의 심장'은 그의 사후 2권의 책으로 출판되었는 데, 그는 성경이 도덕정부의 본질을 밝혀 내기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고 주장하였다.[2]

신학적 공헌과 영향

그는 뉴헤이븐 신학(New Haven Theology)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19세기 초 미국의 도덕적·지적 분위기에 맞게 전통적 칼빈주의를 조정한 것이었다. 그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 의지를 조화시키며, 인간의 도덕적 책임을 강조했다.

주요 교리적 특징

  • 도덕적 능력(Moral ability): 인간은 하나님이 부여한 능력을 통해 선을 선택할 수 있음. 기존 칼빈주의의 엄격한 결정론을 완화함.
  • 원죄론 수정: 인간에게 물려받은 죄의 원죄보다는 죄의 실질적 결과를 강조.
  • 하나님의 보편적 사랑: 하나님은 모두의 구원을 원하시지만, 모든 사람이 구원받는 것은 아님.

영향

  • 그의 사상은 미국 회중교회(Congregationalism)와 19세기 개신교 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침.

Taylor의 신학은 복음주의 부흥운동과 인간 도덕적 책임에 대한 보다 낙관적인 관점을 확립하는 데 기여함.

비판

  • 전통적 칼빈주의자들은 Taylor가 칼빈주의를 부드럽게 만들었다고 비판.
  • 이후 일부 신학자들은 그의 접근이 미국 자유주의 신학(liberal theology)으로 가는 전조였다고 평가.
Remove ads

저서

  • Charge to the Clergy (성직자의 책임)[3]: 원죄교리를 새롭게 방어함.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