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나달–페더러 라이벌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나달–페더러 라이벌리
Remove ads

로저 페더러라파엘 나달은 테니스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라이벌전[1][2][3][4][5]을 펼친 프로 테니스 선수들이다.

Thumb
2008년 윔블던 결승전 경기 중인 페더러와 나달의 모습.

두 선수는 테니스 역사상 유일하게 만 5년 연속으로 ATP 랭킹 1·2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페더러는 2004년 2월부터 237주 연속 세계 랭킹 1위 자리를 지켰다. 페더러보다 4년 10개월 어린 나달은 2005년 7월부터 160주간 연속 세계 랭킹 2위를 기록했다. 페더러가 앞서가고 나달이 뒤쫓는 이러한 구도는 2008년 8월 나달이 페더러를 제치고 랭킹 1위로 올라서면서 깨졌다.[6] 이후 나달이 무릎 부상으로 인해 랭킹이 3위까지 떨어지면서 2009년 7월 페더러가 다시 랭킹 1위 자리를 탈환했다.[7] 나달 같은 해 9월 랭킹 2위로 올라왔다가 2010년 2월 다시 4위까지 떨어졌으며, 이후 5월에 마드리드 마스터스에서 우승하면서 다시 한번 2위 자리를 회복했다.[8] 그리고 2010년 프랑스 오픈에서 우승하면서 또 한번 페더러를 제치고 세계 랭킹 1위로 올라섰다.

두 선수의 상대전적에서는 나달이 23승 14패로 앞서고 있다. 코트 종류별로 보면 클레이에서는 나달이 13 대 2, 잔디에서는 페더러가 2 대 1로 앞서고 있으며, 하드 코트에서는 10 대 9로 페더러가 앞서 있다.[9] 대회 시드가 랭킹순으로 배정되기 때문에, 수 년간 랭킹 1, 2위를 나란히 지켰던 두 사람은 총 37번의 경기 중 23번의 경기가 대회 결승에서 만난 것이었으며, 그중 9번은 그랜드 슬램 결승이었다.[10]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두 선수는 프랑스 오픈윔블던 결승에서 3년 연속으로 맞닥뜨렸으며, 이후 2009년 호주 오픈 결승과 2011년 프랑스 오픈 결승, 2017년 호주 오픈 결승에서 또 다시 맞대결을 펼쳤다. 그랜드 슬램 결승 9경기 중에서는 나달이 6승을 거두었다. 이 9번의 결승전 중 4경기는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으며(2007, 2008 윔블던, 2009, 2017 호주오픈), 특히 2008년 윔블던 결승전은 매우 극적이고 뛰어난 경기 내용으로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테니스 역사상 최고의 명경기로 평가받고 있다.[11][12][13][14] 그들은 마스터스 시리즈 결승에서도 11번 만났으며, 이중 2006년 로마 마스터스 결승에서는 5시간에 걸쳐 풀세트 접전을 벌인 끝에 나달이 마지막 5세트 타이 브레이크를 따내며 승리하였다.

Remove ads

전체 경기 목록

요약
관점

아래 목록은 ATP, 데이비스 컵, 그랜드 슬램 본선 결과를 포함한다.[9]

자세한 정보 No., 일시 ...
범례 (2004–2008)
그랜드 슬램
마스터스 컵
ATP 마스터스 시리즈
ATP 인터내셔널 시리즈 골드
ATP 인터내셔널 시리즈
데이비스 컵
범례 (2009–현재)
그랜드 슬램
ATP 월드 투어 파이널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
ATP 월드 투어 250 시리즈
데이비스 컵
Remove ads

성적 비교 연대표 (그랜드 슬램)

요약
관점
  • 굵은 글씨 = 결승 맞대결 결과
  • 이탤릭체 = 결승 이전 라운드 맞대결 결과

1999–2004

자세한 정보 Player ...

2005–2010

자세한 정보 Player ...

2011–2016

자세한 정보 Player ...

2017

자세한 정보 Player ...
자세한 정보 용어, 성적 연대표 범례 ...

연령별 성적 비교

페더러는 1981년 8월 8일생이며, 나달은 1986년 6월 3일생으로, 두 사람의 나이차이는 5살이다. 아래는 연령을 기준으로 당시 달성한 성적을 비교한 도표이다.

  • * = 현재 진행 중인 기록
자세한 정보 연령(시즌말), 페더러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