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남계정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의 정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남계정
Remove ads

남계정(南溪亭)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 에 있는, 남계 계온(季溫)이 1578년 후학들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남계정에 오르면 모악산 정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길게 펼쳐지는 모악산 전체 자락을 조망할 수 있다.

파일:의병장 조헌의 남계정기
 남계정에는 전라도관찰사 신응시와 의병장 조헌이 쓴 남계정 기가 있다. 의병장 조헌은 남계정 기에 "호남의 완산에 수려한 산이 있고, 산 아래 맑은 시냇가에 정자가 있으니, 이는 곧 생원 선교랑 행 합천교도 김 공이 사는 곳이다. 공의 6세조 형제분 교도공, 군수공, 전직공이 처음 두현에 터를 잡았다. 필경은 이 강산의 수려한 지령에 힘입어 훌륭한 인재가 나올 곳이라 하였고, 4세~6세를 지나는 동안 대대로 벼슬집이라 하더니, 합천교도 김 공에 이르러 드디어 20대에 과거에 장원급제하였다. 원래 백년의 높은 뜻이 이곳 강산의 아름답고 우아하고 꿋꿋한 모습과 같았으며, 훌륭한 스승 밑에서 배움을 닦았으니 일신의 생활법도나 그 예의 바름은 말할 것도 없고, 이학, 일반과학, 성리학에도 밝았으며, 문장에도 뛰어나 과연 이 나라에 으뜸가는 문장도덕인이었다"고 하였다. 
파일:전라도 관찰사 신응시가 쓴 행 합천교도 남계정서
남계정에는 그때 이래로 옥과현감 김병기, 태인현감 이승경, 홍문관 교리 김우휴, 진사 조경, 홍문관 교리 고시홍, 승지 신직모, 대사헌 정재영 등이 지은 시들이 걸려 있어, 오랜 세월 문사들이 들렀던 곳임을 알게 한다. 고재 이병은의 아버지 이봉덕은 두현리 사람으로 홍문관 교리를 지냈으며, 금재 최병심은 통천김씨 김종덕의 사위로 그분들이 최근까지도 남계정을 아끼고 사랑했음을 그분들의 현판과 차운시로도 짐작게 한다.
파일:고재 이병은 시
파일:금재 최병심 남계정 중수기
남계정이 있는 구이면 두현리는 조선 초기에 통천김씨들이 자리를 잡은 마을이다. 마을 안에는 오랜 세월을 상징하듯 줄기가 갈라지고 안이 비었는데도 줄기가 청청한 통천김씨 입향목이 있다. 남계 김진의 큰형 김현(자 백온)은 생원, 둘째 형 김원(자 중온)은 1553년 명종 8년 계축별시에 급제하여 교서관 정자, 홍문관 교리를 지냈다. 남계 김진(자 계온)은 1552년 성균생원에 입격하였다. 그때 훗날 의병장 고경명, 전라도관찰사 신응시 등이 함께 입격하여 평생 서로를 아끼는 친구로 지낸다. 기축옥사 때 안타까운 죽음을 맞은 형조좌랑 김빙은 구이면 상하보에 사는 집안 조카이며,1588년 식년시에 입격한 김여련이 장자, 1603년 생원시에 입격한 김여순이 둘째 아들이다. 
남계정은 현종 14년1673, 철종 10년1859에 중수되었으며,[1990년]] 6월 30일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주소 ...
파일:남계정 전경
Remove ads

참고 자료

  • 남계정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