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인천 남동구의 행정 구역은 20개동 608개통, 3,493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천 남동구의 면적은 56.84 km2이며 인천의 5.7%를 차지 한다. 인구는 201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190,440 세대, 500,665 명이다.[1]

행정 구역
동 | 한자 | 인구 | 면적 |
---|---|---|---|
구월1동 | 九月1洞 | 27,576 | 2.69 |
구월2동 | 九月2洞 | 42,458 | 1.06 |
구월3동 | 九月3洞 | 13,690 | 0.76 |
구월4동 | 九月4洞 | 20,260 | 0.91 |
간석1동 | 間石1洞 | 26,703 | 0.87 |
간석2동 | 間石1洞 | 20,650 | 0.41 |
간석3동 | 間石3洞 | 28,653 | 1.84 |
간석4동 | 間石4洞 | 27,796 | 1.07 |
논현1동 | 論峴1洞 | 31,403 | 4.51 |
논현2동 | 論峴2洞 | 34,035 | 3.31 |
논현고잔동 | 論峴古棧洞 | 33,782 | 10.5 |
만수1동 | 萬壽1洞 | 19,910 | 0.69 |
만수2동 | 萬壽2洞 | 29,824 | 1.26 |
만수3동 | 萬壽3洞 | 20,630 | 0.91 |
만수4동 | 萬壽4洞 | 22,641 | 0.89 |
만수5동 | 萬壽5洞 | 19,573 | 0.54 |
만수6동 | 萬壽6洞 | 29,863 | 1.73 |
서창2동 | 西昌2洞 | 2.4 | 35,957 |
장수서창동 | 長壽西昌洞 | 22,801 | 13.97 |
남촌도림동 | 南村桃林洞 | 25,058 | 9.76 |
법정동
법정동 | 행정동 |
---|---|
구월동(九月洞) | 구월1동, 구월2동, 구월3동, 구월4동 |
간석동(間石洞) | 간석1동, 간석2동, 간석3동, 간석4동 |
만수동(萬壽洞) | 만수1동, 만수2동, 만수3동, 만수4동, 만수5동, 만수6동 |
장수동(長壽洞) | 장수서창동 (일부) |
운연동(雲宴洞) | |
서창동(西昌洞) | 장수서창동 (일부), 서창2동 |
남촌동(南村洞) | 남촌도림동 |
수산동(壽山洞) | |
도림동(桃林洞) | |
논현동(論峴洞) | 논현1동, 논현2동, 논현고잔동 (일부) |
고잔동(古棧洞) | 논현고잔동 (일부) |
연혁
개편 전 | 개편 후 |
---|---|
남구 구월동,간석동,남촌동,만수동,장수동,서창동,운연동,도림동,수산동,논현동,고잔동,선학동 일부,동춘동 일부 | 남동구 구월동,간석동,남촌동,만수동,장수동,서창동,운연동,도림동,수산동,논현동,고잔동 |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3]
- 1989년 1월 1일 남동구보건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5월 15일 만수2동을 만수4동으로 분동하였다. (14행정동)
- 1990년 1월 1일 간석1동을 간석4동으로 분동하였다. (15행정동)
- 1991년 8월 26일 구월1동을 구월3동으로, 만수1동을 만수5동으로, 도림동을 남촌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 (18행정동)
- 1992년 1월 1일 남동공단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93년 12월 1일 구월1동을 구월4동으로, 만수1동을 만수6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 (20행정동)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남동구로 개칭하였다.[4]
- 1998년 11월 1일 장수동과 서창동을 장수서창동으로, 남촌동과 도림동을 남촌도림동으로, 논현동과 고잔동을 논현고잔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17행정동)
- 2009년 7월 20일 논현고잔동을 논현동으로 분동하였다.[5](18행정동)
- 2011년 5월 20일 행정동 논현동을 논현1동으로 개칭하고, 논현고잔동을 논현2동, 논현고잔동으로 분동하였다.[6] (19행정동)
- 2018년 11월 5일 장수서창동을 서창2동으로 분동하였다. (20행정동)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