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남면 (인제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남면 (인제군)
Remove ads

남면(南面)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이다. 넓이는 243.27km2이고, 인구는 2012년 기준으로 3,995명이다. 면 소재지는 중심가인 신남리이며, 신남리에서 국도 제44호선국도 제46호선이 분기한다.

간략 정보 남면 南面, 로마자 표기 ...

개요

남면은 인제군의 남쪽에 있다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으며 1960년대에는 인구가 약 12,000여명에 육박했으나 소양강 댐의 건설 이후 면의 저지대 지역이 침수되면서 절반에 가까운 인구가 줄어들었다.

연혁

  • 1914년 :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기린면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편입하여 斗武(두무), 신월(新月), 관대(冠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김부(金富), 정자(亭子), 남전리(藍田里) 10개리로 개편 관할.
  • 1945년 9월 19일 : 38선이 생김에 따라 남전(藍田), 두무(斗武), 관대리(冠垈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에 들어가고 부평(富坪), 어론(於論), 정자(亭子), 갑둔(甲屯), 신풍(新豊), 신월(新月), 김부리(金富里) 7개 리와 인제읍의 원대리와 기린면의 북리(北里), 진동리(鎭洞里)와 함께 홍천군에 편입되어 신남면이라 하고 신풍리의 북쪽 일부를 떼어 신남리를 새로 만들어 8개 리를 관할.
  • 1951년 : 수복
  • 1954년 11월 17일 : 두무(斗武), 신월(新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정자(亭子), 김부(金富), 갑둔(甲屯), 남전(藍田), 관대(冠垈), 신남리(新南里)를 관할.
  • 1973년 7월 1일 :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두무리(斗武里)가 양구군 북면으로 편입됨[1], 양구군 남면 상수내리(上水內里), 하수내리(下水內里), 춘성군 북산면 수산리(水山里) 지역이 인제군 남면으로 편입. 김부리(金富里)가 상남(上南)으로 편입되어 12개리를 관할.
  • 2017년 3월 22일 : 갑둔리를 소치리로 명칭 변경. 단, 군사적 이유로 거주가 제한되는 지역은 기존 명칭인 갑둔리로 존치.[2][3]
Remove ads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법정리, 한자명 ...

교육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