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학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남명학파(南冥學派)는 조선 중기에 영남우도(嶺南右道)를 중심으로 조식의 학식과 덕행을 존숭하고 추종하며 생겨난 학파이다.[1]

간략 정보 종교, 영수 ...
남명학파
南冥學派
종교 (유교)성리학
당직자
영수 남명 조식
역사
창당 조선 중종
해산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선행조직 사림파
통합된 정당 영남학파
닫기

특징

실천적 학풍

남명학의 특징은 실천적 학풍에 있었다.[2] 남명의 학문적 경향은 이천보다는 명도와 가깝다.[2] 남명은 퇴계의 이론지향적 경향을 비판하였다.[2]

계승된 성리학의 수렴된 가르침

남명학의 또다른 큰 특징은 박학과 수렴이라고 할 수 있다.[2] 남명은 섭렵하지 않은 분야가 없다고 할 정도로 독서량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2] 그러나 성리학의 '거경궁리'를 그대로 계승했다고 볼 수 있는 박식한 퇴계와 달리, 남명의 가르침은 제자들에게 자신과 같은 박학이 아니라 선현들이 밝혀놓은 공부의 차례와 행위의 표준을 탐구하는 것에 그쳤다.[2]

중요한 지식인의 역할

예학에 매우 밝았던 남명이 만든 '예서'는 그 당시 조선의 풍속을 완전히 바꾸었다고 한다.[2] 남명은 지식인()의 역할을 중요시 하였으나, 남명의 정치사상은 '위민정치'라고 할 수 있고 '민본정치'라고 할 수 없는 사대부 중심의 사고가 있다.[2]

역사

남명학파는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실천으로 유명한데, 이 때문에 임진왜란 때 남명학파 출신의 의병장이 다수 나왔다.[3]

광해군 시기 집권 세력이었던 북인이 인조반정으로 대부분 소멸되며 남명학파는 쇠잔해지고, 퇴계학파가 융성해진다.[3] 그래서 이후에 영남학파는 퇴계학파가 중심이 된다.[3]

인조반정으로 200년 가까이 출사길이 막히며 학문이 침체되나 1797년 정조의 사제문을 기점으로 학문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된다.[4] 그리고 조식에 문묘종사 운동은 실패로 돌아가지만 순조 18년인 1818년에 산천재가 재건되는 성과를 낸다.[4]

남명학파 계열 북인

사림파는 1575년 선조 7년 국가의 개혁 방안과 관련하여 온건 세력인 서인과 개혁 세력인 동인으로 나뉜다.[5] 선조가 서인을 내치게 되어 3년 만에 정권을 되찾은 후에, 동인은 서인의 처리 문제로 온건 세력인 남인과 강경 세력인 북인으로 각각 불려지게 된다.[5] 이때의 북인은 화담학파 계열의 학자들이었는데, 나중에 화담학파와 남명학파는 제휴를 한다.[5]

퇴계학과 학문적 대립

남인과 북인의 정치적 대립만큼이나 퇴계학과 남명학 간의 학문적 대립 또한 심각하였다.[6]

퇴계학, 남인의 입장에서는 조식의 학문은 의리를 강론하는 것을 크게 꺼려하였으니, 이는 유가의 공부 과정에 없는 도가의 수련법에서 나온 것이라 평하였다.[6] 그 때문에 이황은 남명학을 높고 뻣뻣한 노장사상으로 지목하였다.[6]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