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남수북조

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보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토목사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남수북조
Remove ads

남수북조(南水北調, 영어: South–North Water Transfer Project, South-to-North Water Diversion Project)는 남부의 수자원을 북부로 보낸다는 뜻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진행하는 개발사업이다. 장강(양쯔강)의 물을 황하까지 보낼계획으로 기존의 대운하를 포함한 3개수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Thumb

건설 배경

Thumb
중국의 지역별 연평균 강수량 분포

중국의 남북 수자원 분포는 불균형하다. 남쪽은 매년 잉여의 물이 바다로 흘러들고 북쪽은 장기간 가뭄과 물 부족을 겪고 있으며 특히 베이징-톈진-허베이 지역은 전국 인구의 8%를 부양하고 전국 GDP의 10%를 기여하지만 1인당 수자원량은 국제 표준의 1인당 수자원인 500입방미터에 훨씬 못 미치는 극심한 물 부족 레드라인이며 물 부족은 산업 및 농업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동시에 사람들의 절수 의식은 여전히 열악하고 수자원 이용률이 낮으며 수질 오염도 매우 심각하다.

1952년 10월 30일 마오쩌둥이 "남쪽은 물이 많고 북쪽은 물이 적으니 가능하다면 물을 빌려와도 된다"고 제안한 이후, 중국 본토의 수리 부서는 이에 대해 여러 차례 회의를 열어 논의하고 전문가를 조직하여 전면적인 논증을 진행했다. 수십 년의 연구를 거쳐 현재 남수북조의 전체적인 배치는 각각 장강 상, 중, 하류에서 물을 조달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즉, 서선 공정, 중선 공정, 동선 공정이다. 남수북조 프로젝트가 모두 완성된 후, 매년 물 조절은 황하의 수량에 해당하여 북방 지역의 수자원 부족 상황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으며, 중국의 식량 안보를 보장하고 생태 환경을 회복 및 개선하며 서부 대개발을 촉진하는 데 매우 의의가 있다.

이 프로젝트의 실제 개념은 2002년에 시작되었으며, 중국 수자원부는 청사진을 개발하고 남북수 이송 프로젝트 건설위원회 사무소를 설립하여 건설을 감독했다.[1] 이 프로젝트의 건설은 2003년에 시작되었다. 동부 노선과 중부 노선은 각각 건설하는 데 9년과 10년이 걸렸습니다. 동부 노선은 2013년에 운영되기 시작했고, 서부 노선은 2014년까지 물이 흐르게 되었다.

2024년에는 운영이 시작된 이후 10년 동안 ³ 76.7km의 물이 운반된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 프로젝트는 시작 이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해 왔으며, 2020년에는 북쪽의 지하수 양뿐만 아니라 수질도 크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Remove ads

동선

동부 노선 프로젝트(ERP) 또는 장두 수력 프로젝트는 2002년 12월 27일 오전에 정식으로 착공되었다. 프로젝트는 주로 기존 징항 운하의 강과 주변 호수를 사용하고 수문으로 제어합니다. 동선 공사는 장강 하류에서 장강 물을 끌어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노선을 따라 건설된 13단계 펌프장은 단계적으로 물을 끌어올려 북쪽으로 보내집니다. 홍쩌호, 뤄마호, 난쓰호, 둥핑호를 거쳐 산둥 지역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 물을 공급합니다. 황하를 건너 황화이하이 평원 동부에 물을 공급하여 자연적으로 흘러 최종적으로 톈진에 도착합니다. 다른 하나는 동쪽으로 칭다오옌타이를 공급합니다. 동부 노선의 주요 송수 간선 길이는 1150km이며, 그 중 황하 남쪽은 660km, 황하 북쪽은 490km입니다. 동평호에서 동쪽으로 물을 보내 산동반도로 가는 송수 노선의 길이는 약 690킬로미터입니다. 동선은 2013년 12월 8일에 정식으로 개통되었다.

  • 1단계 프로젝트: 장쑤성 북조의 기존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양수 규모를 초당 500입방미터로 확대하고, 황하를 초당 50입방미터로 통과하며, 자오둥 지역에 초당 50입방미터의 물을 공급합니다. 진푸 철도 연선과 자오둥 지역 도시에 물의 양을 보충하여 장쑤성 북부의 농업용수 조건을 개선합니다. 2019년 6월 21일, 동선 공사가 처음으로 장강 강물을 톈진과 허베이로 운송했다.
  • 2단계 프로젝트: 급수 범위가 허베이성과 톈진시로 확대되어 양수 규모가 초당 600입방미터, 황하를 건너는 초당 100입방미터, 톈진까지 초당 50입방미터, 자오둥 지역에 초당 50입방미터의 물을 공급합니다.
  • 제3기 공사: 공사 규모를 초당 800세제곱미터로 확대하고, 황하를 초당 200세제곱미터, 톈진까지 초당 100세제곱미터로 확대하며, 자오둥 지역에 초당 90세제곱미터의 물을 공급합니다.
Remove ads

중선

중선 공사는 2003년 12월 31일에 착공되었다. 장강의 지류인 한강(한수이)의 단장커우 저수지에서 베이징까지 물을 공급한다. 중력의 힘으로 펌프 없이 물을 공급하며 황하를 하저 도수터널로 통과한다. 수압의 힘으로 황하 아래로 내려간 물이 다시 지표를 따라 흐르게 하는 부분이 엄청난 난공사였다. 중선 물 공급 공사의 총 간선 수로 길이는 1432km이다.

2010년에 거의 완공되어 2014년 12월 12일부터 물을 공급하기 시작했다.[3] 중선을 건설한 이후 단장커우 저수지보다 하류의 한강 수량이 2/3으로 줄어들면서 환경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장기계획으로 싼샤 댐부터 단장커우 저수지까지 수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서선

장강(양쯔강) 상류 통톈강, 야룽강, 다두허에서 황하의 수원으로 물을 돌리는 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다.[4] 장기계획으로는 브라마푸트라강(얄루짱부강), 땅륀강, 메콩강 상류의 물을 양쯔강으로 돌리는 수로도 건설할 계획이 있다.

자금조달

2008년 동부 및 중부 노선의 건설 비용은 2546억 위안(374억 4천만 달러)으로 추산되었다. 당시 정부는 전체 비용의 4분의 1도 안 되는 538억 7천만 위안(79억 달러)만 예산을 책정했다. 여기에는 중앙 정부 및 특별 회계 260억 달러, 지방 정부 80억 달러, 거의 200억 달러의 대출이 포함되었다. 2008년 기준으로 동부 노선(56억 6천만 위안)과 중부 노선(248억 2천만 위안) 건설에 약 300억 위안이 지출되었다. 프로젝트 비용이 크게 증가했다.

2014년까지 2082억 위안(340억 달러) 이상이 지출되었으며, 서부 노선 건설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이는 건설 중인 동안 전체 정부 투자의 3%에 해당하는 상당한 금액이었다. 2024년까지 이 프로젝트에 5천억 위안이 지출되었다.

Remove ads

영향과 비판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SNWTP는 부정적인 환경 영향으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중국 중부에 최소 33만 명의 주민이 재정착해야 했다.[5] 비평가들은 물 전환으로 인해 환경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일부 마을 주민들은 관리들이 이주를 위한 계약서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고 말했다.

2013년, 자유아시아방송(RFA)은 프로젝트의 동쪽 경로인 산둥성 동핑호의 어민들이 오염된 양쯔강 물이 호수로 유입되어 물고기를 죽이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이후 과학 연구에 따르면 물의 전환이 동핑호의 수질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프로젝트는 북부 강, 호수, 대수층을 재충전하여 지하수 고갈을 되돌렸지만, 보조 프로젝트를 통해 부분적으로 해결된 원천 지역의 하류 흐름 감소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과학자들은 이 프로젝트가 노천 증발로 인한 물 손실을 증가시켜 물 전달 효율이 낮아지고 생태적 및 재정적 이점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정확한 증발 손실의 양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더 많은 물이 전달되고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개선될 수 있다. 물 부족을 악화시킬 수 있는 기후 변화 시나리오 측면에서도 이러한 증발 손실은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환경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엔지니어 왕멍슈는 터널 구조가 프로젝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상 운하는 더 많은 굴착과 토지 확보, 그리고 1,300개의 다리 건설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