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남자 높이뛰기 세계 기록 추이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 표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이 공인한 남자와 여자 부문 높이뛰기 세계 기록 추이이다.
연맹은 1912년부터 남자 높이뛰기 세계 기록을 집계하고 공인하기 시작했다.
2011년 7월 15일 기준으로, 연맹은 40개의 세계 기록을 공인했다.[1]
세계 기록 추이

공인 기록 |
비공인 기록 |
# | 기록 | 차이 | 선수 | 나라 | 날짜 | 대회명 | 장소 | 주석 및 기타 | 동영상 |
1 | 2.00m | 조지 호린 | ![]() |
1912.5.8 | ![]() |
[1] | |||
2 | 2.01m | 에드워드 비슨 | ![]() |
1914. 5. 2 | ![]() |
[1] | |||
3 | 2.02m | 클린턴 라슨 | ![]() |
1917. 1. 1 | ![]() |
||||
4 | 2.03m | 해럴드 오스본 | ![]() |
1924. 5. 27 | ![]() |
[1] | |||
5 | 2.04m | 월터 마티 | ![]() |
1933. 5. 13 | ![]() |
[1] | |||
2.06m | 월터 마티 | ![]() |
1934. 4. 28 | ![]() |
[1] | ||||
2.07m | 코닐리어스 존슨 | ![]() |
1936. 7. 12 | ![]() |
[1] | ||||
2.07m | 데이브 올브리튼 | ![]() |
1936. 7. 12 | ![]() |
[1] | ||||
2.08m | 멜빈 워커 | ![]() |
1937. 8. 6 | ![]() |
|||||
2.09m | 멜빈 워커 | ![]() |
1937. 8. 12 | ![]() |
[1] | ||||
2.09m | 빌 스튜어트 | ![]() |
1941. 4. 26 | ![]() |
|||||
2.10m | 레스터 스티어스 | ![]() |
1941. 4. 26 | ![]() |
|||||
2.105m | 레스터 스티어스 | ![]() |
1941. 5. 24 | ![]() |
|||||
2.11m | 레스터 스티어스 | ![]() |
1941. 6. 17 | ![]() |
[1] | ||||
2.12m | 월트 데이비스 | ![]() |
1953. 6. 27 | ![]() |
[1] | ||||
2.15m | 찰스 듀마스 | ![]() |
1956. 6. 29 | ![]() |
[1] | ||||
2.16m | 유리 스테파노프 | ![]() |
1957. 7. 13 | ![]() |
[1] | ||||
2.17m | 존 토머스 | ![]() |
1960. 4. 30 | ![]() |
[1] | ||||
2.17m | 존 토머스 | ![]() |
1960. 5. 21 | ![]() |
[1] | ||||
2.18m | 존 토머스 | ![]() |
1960. 6. 24 | ![]() |
[1] | ||||
2.195m | 존 토머스 | ![]() |
1960. 7. 1 | ![]() |
|||||
2.22m | 존 토머스 | ![]() |
1960. 7. 1 | ![]() |
[1] | ||||
2.23m | 발레리 브루멜 | ![]() |
1961. 6. 18 | ![]() |
[1] | ||||
2.24m | 발레리 브루멜 | ![]() |
1961. 7. 16 | ![]() |
[1] | ||||
2.25m | 발레리 브루멜 | ![]() |
1961. 8. 31 | ![]() |
[1] | ||||
2.26m | 발레리 브루멜 | ![]() |
1962. 7. 22 | ![]() |
[1] | ||||
2.27m | 발레리 브루멜 | ![]() |
1962. 9. 29 | ![]() |
[1] | ||||
2.28m | 발레리 브루멜 | ![]() |
1963. 7. 12 | ![]() |
[1] | ||||
2.29m | 니지친 | ![]() |
1970. 11.8 | ![]() |
|||||
2.29 m | Pat Matzdorf | ![]() |
1971. 7. 3 | ![]() |
[1] | ||||
2.30m | 드와이트 스톤스 | ![]() |
1973. 7. 11 | ![]() |
[1] | ||||
2.31m | 드와이트 스톤스 | ![]() |
1976. 6. 5 | ![]() |
[1] | ||||
2.32m | 드와이트 스톤스 | ![]() |
1976. 8. 4 | ![]() |
[1] | ||||
2.33m | +1cm | 블라디미르 야시첸코 | ![]() |
1977. 6. 2 | 미국-소련 국가 대항전 | ![]() |
[1] | ||
2.34m | 블라디미르 야시첸코 | ![]() |
1978. 6. 16 | ![]() |
[1] | ||||
2.35m | 야체크 브쇼와 | ![]() |
1980. 5. 25 | ![]() |
[1] | ||||
2.35m | 디트마르 뫼겐부르크 | ![]() |
1980. 5. 26 | ![]() |
[1] | ||||
2.36m | + 1cm | 게르트 베시크 | ![]() |
1980. 8. 1 | 제22회 하계 올림픽 | ![]() |
[1] | ||
2.37m | 주잔화 | ![]() |
1983. 6. 11 | ![]() |
[1] | ||||
2.38m | 주잔화 | ![]() |
1983. 9. 22 | ![]() |
[1] | ||||
2.39m | 주잔화 | ![]() |
1984. 6. 10 | ![]() |
[1] | ||||
2.40m | 루돌프 포바르니친 | ![]() |
1985. 8. 11 | ![]() |
도네츠크는 현재 우크라이나에 속해 있다.[1] | ||||
2.41m | + 1cm | 이고르 파클린 | ![]() |
1985. 09. 04 | 제13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 ![]() |
[1] | ||
37 | 2.42m | + 01cm | 파트리크 셰베리 | ![]() |
1987. 6. 30 | 제21회 DN 갈란 육상 대회 | ![]() |
[1] | |
38 | 2.43m | 하비에르 소토마요르 | ![]() |
1988. 9. 8 | ![]() |
[1] | |||
39 | 2.44m | + 01cm | 하비에르 소토마요르 | ![]() |
1989. 07. 29 | 제12회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 육상 대회 | ![]() |
[1] | |
40 | 2.45m | + 01cm | 하비에르 소토마요르 | ![]() |
1993. 07. 27 | 살라망카 국제 육상 대회 | ![]() |
[1] | [2] |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