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내소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내소사(來蘇寺)는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에 있는 절이다. 삼국시대 백제에서 건립되었다. 1986년 9월 9일 전라북도의 기념물 제78호 내소사일원으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역사
내소사는 백제 무왕 34년(633년)에 혜구두타 스님이 창건했다. 내소사가 가장 번성했을 때에는 큰 절은 대소래사, 작은 절은 소소래사가 있었다.
그 후로 대소래사는 불타 없어지고 현재의 내소사는 소소래사가 전해져온 것이라고 한다. 임진왜란 때 모든 전각이 불타 없어졌다가 인조 11년(1633년)에 청민선사가 중건했다.
문화재
내소사가 보유한 성보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 4점과 지방 유형문화재 2점이 있다.
국가 지정 문화재
- 《부안 내소사 동종》 (보물 제277호)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보물 제278호)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보물 제291호)
-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보물 제1268호)
시도 지정 문화재
- 《부안 내소사 삼층석탑》 (전북 유형문화재 제124호),
- 《부안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 (전북 유형문화재 제125호)
사진
- 일주문
- 천왕문
- 보종각
- 설선당과 삼층석탑
- 봉래루
- 조사당
- 관음전
- 무설당
- 지장전
- 삼성각
- 청련암
- 가을의 느티나무
- 당산나무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내소사일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