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내시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능
궁중 안의 식사감독, 왕명 전달, 궐문 수문(守門)과 수직(守直), 청소 등 궐내 잡무를 맡아보았다.
연혁
고려시대 공민왕이 환관(내시)들에게 베푼 관청으로 우왕 때 폐지되었다가 공양왕 때 복귀되었다.
조선시대에는 1392년(태조 1년)에 설치하였다. 이후 정조 때에 대전장번, 대전출입번, 왕비전출입번, 세자궁장번, 세자궁출입번, 빈궁출입번 등을 두었다.
요즈음에는 청와대 부속실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구성
모든 인원은 140명으로 환관으로만 이루어져있으며 1년에 4번 인사이동을 한다.
4품관 이하는 다른 문무관과 같이 계급이 올라가고, 3품관 이상은 왕의 특지로 올라갔다.
참고 문헌
- 『고려사』
- 『태조실록』
- 『태종실록』
- 『성종실록』
- 『증보문헌비고』
- 『경국대전』
- 『역주경국대전』-주석편-(한우근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 「고려시대의 환관에 대하여」(이우철, 『사학연구』 1, 1958)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