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노이에 피나코테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노이에 피나코테크(영어: New Pinacotheca, 독일어: Neue Pinakothek(독일어 발음: [ˈnɔʏ.ə pinakoˈteːk])는 독일 뮌헨에 있는 미술관이다. 18세기와 19세기 유럽 미술에 중점을 두며,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19세기 미술관 중 하나이다.
알테 피나코테크와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와 함께 뮌헨의 박물관 지구(쿤스트아레알)의 일부이다.
Remove ads
건물

노이에 피나코테크는 1859년에 완공되었으며, 유럽 최초의 현대 회화 전시를 위한 박물관이 될 예정이었다.[1] 설립 당시, 유럽 회화의 확립된 화파들의 작품들이 전시되었으며, 1층에는 186개의 현대 유명인 석고 흉상도 전시되었다.[2]
이 건물은 20세기 후반에 재개발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건축가 알렉산더 폰 브란카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새로운 스타일로 설계하였으며, 1981년에 개장했다. 콘크리트 구조와 석재 외관 디자인을 결합했다.
역사

루트비히 1세 (바이에른)는 왕세자였던 1809년부터 현대 미술을 수집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컬렉션은 꾸준히 늘어났다. 박물관이 설립될 때, 19세기 전환기 직전을 기준으로 알테 피나코테크의 옛 거장들의 작품과 분리했으며, 이후 많은 미술관들이 이 방식을 따랐다.
루트비히 1세의 개인적인 선호로 인해, 박물관은 처음에는 독일 낭만주의와 뮌헨 화파의 그림에 초점을 맞추었다. 1832년에 그리스가 바이에른의 속령이 되면서 왕실의 의지도 한몫했다. 1834년 카를 로트만은 루트비히 1세로부터 의뢰를 받아, 그리스 풍경화 연작 제작을 위해 그리스를 방문했다. 이 작품들은 노이에 피나코테크에 설치된 전용 홀에 전시되었다.
1905년에서 1914년 사이에 박물관장을 역임했던 추디의 노력으로 피나코테크에 인상주의와 탈인상주의의 걸작들이 엄청나게 수집되었다. 휴고 폰 추디는 베를린 국립 미술관에서 폴 고갱의 <그리스도의 탄생>을 전시한 것에 대한 징계로 빌헬름 2세에게 해고되었다. 그는 뮌헨으로 와서 피나코테크의 관장이 되었다. 추디는 국가 컬렉션의 총감독으로서 44점의 회화, 9점의 조각, 22점의 드로잉을 획득했는데, 대부분은 신진 프랑스 예술가들의 작품이었다. 이 작품들을 구매하는 데 공공 기금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추디의 동료들은 1911년 그가 사망한 후 사적인 기부를 통해 자금을 모금했다.
앙리 마티스와 표현주의를 포함하여 근대 화가들을 위한 공간은 약 1900년으로 고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추디가 수집한 마티스의 그림은 현재 피나코테크 데어 모데르네에 전시되어 있다.
1915년, 노이에 피나코테크는 바이에른주의 소유가 되었다. 1938년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나치 정권은 빈센트 반 고흐의 자화상을 퇴폐예술로 분류하여 압수했다.
보수 공사
2019년 1월부터 노이에 피나코테크는 보수 공사로 인해 폐쇄되었다.[3] 원래 건물은 최소 2025년까지 폐쇄될 예정이었다.[4][5] 2022년 1월에 박물관 개관은 2029년으로 연기되었다.[6][7]
Remove ads
컬렉션
요약
관점
이 박물관은 바이에른 주립 회화 컬렉션의 감독하에 있으며, 고전주의부터 아르누보까지 약 3,000점 이상의 유럽 회화를 소장하고 있다. 이 중 약 400점의 회화와 50점의 조각품이 노이에 피나코테크에 전시되어 있다.

- 18세기 후반 국제 회화
- 이 갤러리는 프란시스코 고야의 <털 뽑힌 칠면조> <스페인 육군 의사 돈 호세 케랄토>, 자크루이 다비드의 <앙마리루이 테뤼송> <소르시 백작부인>, 요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티슈바인의 <정원의 니콜라 샤텔랭>, 안톤 그라프의 <하인리히 13세> <로이스 백작> 등의 작품을 전시한다.
- 18세기 및 19세기 초 영국 및 스코틀랜드 회화
- 토머스 게인즈버러의 <토머스 히버트 부인과 토머스 히버트의 초상> <목자와 양떼가 있는 풍경>, 윌리엄 호가스의 <리처드 마운트니>, 존 컨스터블의 <이스트 버그홀트에서 본 데드햄 계곡>, 조슈아 레이놀즈의 <파일레몬 포넬 대위>, 데이비드 윌키의 <유언장 읽기>, 토머스 로렌스의 <탈봇 백작 1세의 두 아들>, 조지 롬니의 <캐서린 클레멘츠>, 리처드 윌슨의 <리치몬드 정원 근처 템스 강 건너 시온 하우스 전경>, 헨리 레이번의 <킬베리의 J. 캠벨 부인>, 조지 스터브스의 <포인터> 및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의 <오스텐드> 등의 걸작들을 소장하고 있다. 피나코테크는 토머스 게인즈버러의 작품을 영국 이외의 어떤 유럽 박물관보다 많은 다섯 점을 소장하고 있다.
- 로마 고전주의 독일 예술가들
- 프리드리히 오버베크의 <이탈리아와 게르마니아>,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샤도브의 <현관 아래 성가족>, 하인리히 마리아 폰 헤스의 <마르케사 마리안나 플로렌치>, 페터 폰 헤스의 <나우플리아에 입성하는 그리스의 오토 왕>, 페터 폰 코르넬리우스의 <무덤의 세 마리아>와 같은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정자>,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의 <도시 위에 우뚝 솟은 대성당>, 카를 블레헨의 <악마의 다리 건설> 등의 그림이 있다.

- 비더마이어
- 프란츠 크사버 빈터할터의 <예니손-발워트 백작>, 카를 슈피츠베크의 <가난한 시인>, 모리츠 폰 슈빈트의 <교향곡>, 페르디난트 게오르그 발트뮐러의 <창가에 세 자녀를 둔 젊은 농부 여자> 등의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 외젠 들라크루아의 <클로린다, 올린도와 소프로니아를 구하다>, 테오도르 제리코의 <계곡을 지나는 포병대>, 귀스타브 쿠르베의 <메지에르 근처 풍경>, 장프랑수아 밀레의 <나무에 접목하는 농부>, 오노레 도미에의 <드라마> 등이 있다.
- 독일-이탈리아인
- 한스 폰 마레의 <자화상>, 아르놀트 뵈클린의 <갈대 속의 판>, 안젤름 포이어바흐의 <메데이아>, 한스 토마의 <타우누스의 풍경>와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이 있다.
- 역사화
- 빌헬름 폰 카울바흐의 <예술가들에게 둘러싸인 루트비히 1세>, 카를 테오도르 폰 필로티의 <세니와 발렌슈타인>, 프란츠 폰 데프레거의 <마지막 소집>, 한스 마카르트의 <매 사냥꾼 여성> 등의 작품이 있다.
- 독일 사실주의
- 빌헬름 라이블의 <게돈 부인의 초상>, 프란츠 폰 렌바흐의 <아레징 마을 거리>, 아돌프 멘첼의 <화가 여동생이 있는 거실> 등이 있다.
- 독일 인상주의

- 프랑스 인상주의
-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젊은 여인의 초상>, 에두아르 마네의 <스튜디오에서의 오찬> <떠다니는 작업실에서 그림 그리는 모네>, 클로드 모네의 <아르장퇴유의 다리>, 폴 세잔의 <철도 절개지>, 폴 고갱의 <탄생 - 테 타마리 노 아투아>, 에드가 드가의 <다림질하는 여인>, 카미유 피사로의 <어퍼 노우드 거리>, 알프레드 시슬레의 <햄프턴 코트 가는 길>, 폴 세뤼지에의 <세탁부>, 빈센트 반 고흐의 <해바라기> <직조공> 등 걸작들이 있는 세계 최고의 컬렉션 중 하나이다.
- 상징주의와 아르누보 그리고 20세기 초
- 조반니 세간티니의 <쟁기질>, 구스타프 클림트의 <마가렛 스톤보로-비트겐슈타인>, 폴 시냐크의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 모리스 드니의 <가축의 갈리아 여신>,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의 <셀레랑의 젊은 루티>, 제임스 엔소르의 <작업실의 정물>, 에두아르 뷔야르의 <카페 장면>, 페르디난트 호들러의 <삶에 지치다>, 프란츠 폰 슈툭의 <죄>, 에드바르 뭉크의 <붉은 옷을 입은 여인 (오스고르스트란드 거리)>, 월터 크레인의 <넵투누스의 말들>, 토마스 오스틴 브라운의 <붉은 깃털 아가씨>, 피에르 보나르의 <거울 앞의 여인>, 에곤 실레의 <고뇌> 등의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 조각
Remove ads
갤러리
- 노이에 피나코테크 소장품
- 프란시스코 고야 —
스페인 육군 의사 돈 호세 케랄토 - 자크루이 다비드 —
앙마리루이 테뤼송, 소르시 백작부인 - 토머스 게인즈버러 —
토머스 히버트 부인 - 1826년 요제프 카를 슈틸러의 루트비히 1세 (바이에른)의 초상
- 페터 폰 헤스 —
아테네에 입성하는 그리스의 오토 왕 - 1844년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의 오스텐드
- 막스 리버만 —
목욕하는 소년들 - 폴 고갱 —
테 타마리 노 아투아 - 폴 세잔 —
철도 절개지 - 툴루즈로트레크 —
셀레랑의 젊은 루티 - 베르텔 토르발센—
전사의 머리 c. 1812 - 오귀스트 로댕—
코가 부러진 남자 c. 1863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