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논산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논산시의 행정 구역은 2읍 11면 2행정동(11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산시의 면적은 총 554.85km2이며, 인구는 2010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53,704세대 130,311명에 이른다.[1]
행정 구역
Remove ads
법정동·리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논산은 일제 강점기에 연산군, 은진군, 노성군의 소사면을 제외한 지역, 그리고 석성군, 공주군, 진잠군 등의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설치되었다. 연산군은 본래 백제의 황등야산군이었는데 조선 태조 23년에 연산현이 되었다. 은진군은 본래 덕은현과 시진현을 합쳐서 생겨났다. 노성군은 백제의 열야산현인데, 신라 경덕왕 때 니산현으로 고쳤다가 조선 정조 초에 노성이라고 칭하였다.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령 제3호
1914년의 행정구역[4]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 15면 - 상월면, 노성면, 광석면, 성동면, 연산면, 부적면, 양촌면, 두마면, 벌곡면, 가야곡면, 구자곡면, 대조곡면, 채운면, 논산면, 강경면
- 1915년 7월 1일 전라북도 전주군 운선면 일부(구 고산군 운북면 지역)를 양촌면에 편입하고, 양촌면 산북리를 전주군에 편입하였다.[5][6]
- 1917년 10월 1일 대조곡면을 은진면으로 개칭하였다.[7]
- 1931년 4월 1일 강경면이 강경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4면)[8]
- 1938년 10월 1일 논산면이 논산읍으로 승격하였다. (2읍 13면)[9]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법률 제1175호
- 1973년 7월 1일 가야곡면 석서리가 양촌면에 편입되었다.[12]
- 1983년 2월 15일 가야곡면 중산리·양촌리 일부가 양촌면으로, 양촌면 신양리가 연산면으로, 은진면 토양리 일부가 연무읍으로 편입되었다.[13]
- 1987년 1월 1일 은진면 강산리, 내동리, 관촉리를 논산읍에 편입하였다.[14]
-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를 두마면에 편입하였다.
- 1990년 2월 19일 두마면에 충청남도 계룡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96년 3월 1일 논산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논산시가 설치되었다.[15] 동시에 논산읍이 부창동과 취암동으로 변경되었다. (2읍 12면 2행정동)
- 2003년 9월 19일 두마면을 시로부터 분리하여 계룡시를 설치하였다. (2읍 11면 2행정동)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