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농상공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농상공부(農商工部) 또는 농상아문(農商衙門)은 조선 후기 농업, 상업, 공업, 통신, 해운 등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다. 오늘날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초대 대신(大臣)은 한일 병합독립운동가가 된 김가진이다.

연혁

  • 1894년(고종 31년) 6월 28일, 농상아문(農商衙門) 및 공무아문(工務衙門) 출범[1]
  • 1895년(고종 32년) 4월 1일, 농상아문과 공무아문을 통합하여 농상공부(農商工部)로 재개편
  • 1900년(고종 37년) 3월 23일, 농상공부 통신국을 분리하여 통신원(通信院) 설치
  • 1910년(순종 4년) 8월 29일, 폐지 : 경술국치(庚戌國恥)

조직

  • 대신관방(大臣官房)
    • 비서과
    • 문서과
  • 농무국(農務局)
    • 농사과
    • 산림과
    • 산업과
  • 광산국(鑛山局)
    • 광업과
    • 지질과
  • 통신국(通信局) : 1900년 분리 독립
    • 체신과
    • 관선과
  • 상공국(商工局)
  • 회계국(會計局)
  • 철도국(鐵道局) : 1898년 신설, 1901년 분리[2][3][4]

인원

  • 대신(大臣) 1명
  • 협판(協辦) 1명
  • 참의(參議) 1명
  • 국장(局長) 5명
  • 참서관(參書官) 4명
  • 주사(主事) 18명
  • 기사(技師) 7명
  • 기수(技手) 12명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