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눈의 진군

일본군의 군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눈의 진군」(일본어: (ゆき) (しん) (ぐん) 유키노신군[*])은 청일전쟁 때 일본군 종군군악대에 종사한 부부대장 나가이 켄시(일본어: 永井建子)가 작사·작곡한 군가다. 승리의 영광이나 애국심 고취 등의 면모는 전혀 찾아볼 수 없고 알보병 입장에서의 신세한탄으로만 이루어진 가사가 특징이다.

1942-45년 NHK 합창단 가창

역사

Thumb
1900년 《일동군가》의 《눈의 진군》 악보

나가이 켄시는 청일전쟁 발발 당시 오오야마 이와오 대장이 지휘하는 제2군사령부 군악대의 군악차장으로 있었으며, 이후 여순, 위해 등지에서 종군했다.[1] 특히 위해위 전투에 참여했을 당시의 체험을 바탕으로 1895년 2월 중순경 작곡한 것이 이 곡이다. 당시 일본군 병사들은 눈 속에서 굶주림과 추위에 시달렸으며, 나가이는 그 모습을 자세히 관찰하여 곡에 반영했다.[2]

곡조는 경쾌한 요나누키 음계 77조다. 메이지 시대 군가로서는 이례적으로 언문일치체가 사용되었다. 훗날에는 언문일치체를 이용한 군가, 국민가도 등장했지만 당시에는 문예작품에도 언문일치체가 허용되지 않던 시절이었다.[3][4] 그 가사는 주류 군가와 달리 병사의 불평불만을 적나라하게 묘사하여,[5] 병사의 고난을 다룬 군가로서 「전우」, 「무츠의 눈보라」보다 앞서 일본 최초로 등장한 것이다.[6]

이 곡은 1895년 8월 『음악잡지 52호』에 가사가 게재되고, 동년 10월 『대동군가 꽃의 권』에서부터 군가집에 수록되었다.[7][8] 곡은 현장 장병들 사이에 빠르게 퍼졌고, 나가이의 상관이었던 제2군사령관 오오야마도 이 곡을 애창해 임종 때 머리맡의 축음기로 틀어놓았다는 일화가 있다.[9] 메이지 시대 후기에는 러일전쟁의 영향으로 「용감한 수병」 등 다른 군가들과 함께 학교의 창가 교재로 이용되었다. 이 곡들은 모두 문부성 검정필로 전의 고조의 임무를 수행했다.[10]

그 후 오래도록 애창되었지만 “용장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쇼와 시대에 가사가 일부 개정당했고, 태평양 전쟁 때는 아예 가창이 금지되었지만 잘 지켜지지 않아 종전 시점까지 불렸다.

음가 변화

원 작곡에는 파가 두번 들어가 있다. 7마디에 ‘미미파미레도’, 9마디에 ‘솔솔-파’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부분의 파를 미로 부르게 되어, 점차 요나누키 장조 곡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1]. 원래 노래는 4/4로 작곡되어 있었는데, 점차 빠르게 부르며 2/4화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Remove ads

가사

요약
관점

이 가사는 메이지 44년(1911년) 『군가걸작집』에 실린 것을 기준으로 한다. 가사 마지막의 “(상부가 병사를) 어차피 살려서 돌려보낼 생각 없으니” 라는 가사는 쇼와 시대에 상술한 이유로 “(병사 자신이) 어차피 살아서 돌아갈 생각 없으니”로 바뀌었다.[12]

자세한 정보 역사적 가나, 현대 가나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