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뉴턴주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뉴턴주의아이작 뉴턴 이후에 뉴턴의 과학적 방법론과 목적론을 따르려는 18세기 유럽 과학의 경향을 말한다.

1687년 뉴턴프린키피아를 출판했다. 뉴턴은 이 책에서 만유인력이라는 과 운동법칙을 토대로 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자연의 운동을 기술했다. 이 책은 고대 이래 분리되어 생각되어 왔던 지상의 운동과 천체의 운동을 종합했으며, 수학적 방법과 과학적 방법을 종합했다는 데에서 대단한 과학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뉴턴의 위대한 성공에 힘입어, 이후에도 이러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이는 수학과 물리학 분야만이 아니라 화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의 전범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무엇보다 우주가 이성적이고 필연적인 법칙에 의해 지배되며, 인간의 능력으로 이를 파악할 수 있다는 그의 철학은 계몽주의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Remove ads

뉴턴과학의 방법

뉴턴과학의 방법은 “나는 가설을 설정하지 않는다.”라는 프린키피아의 유명한 구절로 대표된다. 뉴턴은 가설을 실험이나 관측에 의해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없는 설명이라 하여, 이를 배격했다. 따라서 자연과학에 있어서 근원적 메커니즘이나 힘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지 않고 그저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미시적 차원의 현상에 대한 관념적, 이성적 고찰보다는 거시적 차원의 현상에 대한 경험적 기술에 치중했다. 예를 들어 1704년 발표된 뉴턴의 또 다른 대작 광학에서 뉴턴은 색에 관해 거시적 차원의 현상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다. 빛을 입자라고 설명하면서도 빛 입자의 구체적 운동과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는 빛이 통과하는 공간의 물질입자의 회전속도 차이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했던 데카르트와는 크게 대조된다.[1]

Remove ads

뉴턴과학의 목적

뉴턴과학의 목적은 광학의 끝 부분에 포함된 ‘질문들(Queries)’에서 잘 나타난다. 뉴턴은 자신이 상정한 만유인력처럼 전기, 자기, 열, 화학 현상 등 각각의 현상에 대응되는 고유한 ‘힘’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또한 그것들의 수학적 형태를 찾아내면, 이 모든 현상들을 수학적으로 기술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이러한 가상의 힘에 대한 상상, 이의 수학적 기술은 뉴턴과학의 주된 목적으로 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뉴턴과학의 영향

뉴턴과학의 한계와 의의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