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카카오 (기업)

대한민국 IT 기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주식회사 카카오(영어: Kakao Corp.)는 대한민국의 IT 기업이다.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역사

  • 2025년 8월 PlayMCP 서비스 오픈
  • 2025년 5월 카나나 서비스 오픈
  • 2024년 11월 골골즈 출시
  • 2024년 10월 Kanana Model Family 공개
  • 2024년 1월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 가동
  • 2023년 3월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인수
  • 2022년 7월 판교아지트 사옥 오픈
  • 2022년 6월 서울아레나 설립
  • 2022년 3월 카카오헬스케어 설립
  • 2021년 7월 카카오스타일 인수
  • 2020년 5월 카카오쇼핑라이브 서비스 오픈
  • 2019년 12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분사
  • 2019년 11월 한국카카오은행 인수
  • 2019년 11월 카카오메일 서비스 오픈
  • 2018년 11월 카카오홈 서비스 오픈
  • 2018년 4월 카카오임팩트 설립
  • 2018년 3월 그라운드원 설립
  • 2017년 11월 니니즈 출시
  • 2017년 10월 카카오게임즈홀딩스 합병
  • 2017년 10월 헤이카카오 서비스 오픈
  • 2017년 8월 카카오모빌리티 분사
  • 2017년 7월 카카오 i 공개
  • 2017년 7월 코스피 이전상장
  • 2017년 6월 카카오톡 스토어 서비스 오픈
  • 2017년 4월 카카오인베스트먼트 설립
  • 2017년 4월 카카오페이 분사
  • 2016년 5월 카카오드라이버 서비스 오픈
  • 2016년 3월 로엔엔터테인먼트 인수
  • 2016년 3월 아지트 서비스 오픈
  • 2016년 2월 링키지랩 설립
  • 2016년 2월 메이커스위드카카오 서비스 오픈
  • 2015년 12월 포도트리 인수
  • 2015년 9월 다음카카오 ➝ 카카오로 사명 변경
  • 2015년 8월 디케이테크인 설립
  • 2015년 6월 브런치 서비스 오픈
  • 2015년 6월 카카오TV 서비스 오픈
  • 2015년 5월 록앤올 인수
  • 2015년 3월 케이큐브벤처스 인수
  • 2015년 3월 카카오택시 서비스 오픈
  • 2015년 2월 지하철 내비게이션 서비스 인수
  • 2015년 1월 케이벤처그룹 설립
  • 2015년 1월 키즈노트 인수
  • 2014년 10월 서울버스 서비스 인수
  • 2014년 10월 다음카카오 출범
  • 2014년 9월 카카오페이 서비스 오픈
  • 2014년 4월 스페이스닷투 사옥 오픈
  • 2013년 9월 카카오뮤직 서비스 오픈
  • 2013년 4월 카카오페이지 서비스 오픈
  • 2012년 11월 카카오프렌즈 출시
  • 2012년 9월 카카오스타일 서비스 오픈
  • 2012년 7월 카카오톡 게임하기 서비스 오픈
  • 2012년 4월 제주 본사 스페이스닷원 사옥 오픈
  • 2012년 3월 카카오스토리 서비스 오픈
  • 2011년 11월 카카오이모티콘 서비스 오픈
  • 2011년 4월 다음 희망해 서비스 오픈
  • 2010년 12월 카카오톡 선물하기 오픈
  • 2010년 9월 아이위랩 ➝ 카카오로 사명 변경
  • 2010년 3월 카카오톡 서비스 오픈
  • 2008년 5월 다음 라이브 서비스 오픈
  • 2008년 5월 다음 지도 서비스 오픈
  • 2006년 11월 아이위랩 설립
  • 2006년 5월 티스토리 서비스 오픈
  • 2005년 2월 다음에프엔 설립
  • 2003년 3월 다음 만화속세상 서비스 오픈
  • 2002년 1월 다음 게임 서비스 오픈
  • 1999년 11월 코스닥 상장
  • 1999년 7월 다음, 포털 사이트로 개편
  • 1999년 5월 카페한메일 서비스 오픈
  • 1997년 5월 한메일넷 서비스 오픈
  • 1995년 4월 버추얼 갤러리 서비스 오픈
  • 1995년 2월 다음커뮤니케이션 설립
Remove ads

카카오 서비스

요약
관점

커뮤니티

  • 카카오톡: 채팅, 보이스톡 등의 기능을 제공
  • 카카오스토리: 사진, 동영상, 음악 공유 기능 제공
  • 브런치스토리 : 콘텐츠를 발행하려면 작가 신청 후 선별 승인을 통과해야 하는 '작가 주의' 블로그 서비스
  • 티스토리: "태터 앤 컴퍼니"와 합작하여 만들어진 태터툴즈 기반의 블로그 서비스. "태터 앤 컴퍼니"가 구글코리아에 인수되면서 현재는 카카오가 모든 지분을 소유한다.

콘텐츠

  • 카카오뮤직: 음악 듣기, 다운 받기, 공유하기 기능 제공
  • 멜론: 음악 듣기, 연예 매니지먼트 등 제공, 1월 11일 인수하면서 카카오M이 운영하지 않고 카카오가 운영함. 이후 2021년 7월 1일 멜론컴퍼니로 자회사 형태로 독립함. 2021년 9월 1일 카카오M(현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피합병
  • 카카오페이지: 만화 등 웹툰, 웹소설 형식 제공
  • 픽코마 : 카카오픽코마(구 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일본의 웹툰, 출판만화, 웹소설 등을 서비스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

커머스

금융

교통

  • 카카오버스: 57개 시군의 버스 관련 정보, 승•하차 알람, 버스노선의 실시간교통정보 제공[1]
  • 카카오내비: 자동차, 대중교통 경로 검색과 현재 위치 주변 정보 알림 기능 제공
  • 카카오 T 대리: 대리운전 서비스(2016년 5월 31일 정식 서비스 시작)
  • 카카오 T: 택시 호출, 택시 위치 확인, 내비게이션, 대리운전 기능 제공[2](카카오택시에서 명칭 변경)

카카오맵

  • 카카오맵: 전국을 50cm급 고해상도 항공 사진으로 보여주는 ‘스카이뷰’ 및 실제 거리 모습을 파노라마 사진으로 촬영한 ‘로드뷰’ 등으로 구성된 지도 서비스(다음 지도에서 명칭 변경)

2025년 2월 한국 지도 서비스의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는 네이버 지도가 2,650만명으로 1위이며 시장 점유율은 70%이다. 2위는 티 맵(37.6%, 1,436만명), 3위는 카카오 맵(27.6%, 1,057만명), 4위는 구글 지도(23.1%, 884만명)이다.[3]

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의 2024년 발표에 따르면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이용자 수 1위는 티맵으로 점유율 74%이다. 2위는 카카오맵으로 12%, 3위는 네이버지도로 7%이다. 구글지도는 한국에서는 지도 자료 해외 서버 반출 금지 조치로 차량 내비게이션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4]

비디오 게임

기타

  • 카카오프렌즈: 카카오톡 이모티콘 기반 캐릭터
  • 카카오TV: 라이브 방송과 카카오톡 오픈채팅을 연동
  • 카카오홈: 스마트폰 홈 화면 관리 서비스
  • 카카오헤어샵: 모바일 헤어샵 예약 서비스
  • 야나두키즈: 키즈 동영상을 볼 수 있음
Remove ads

사내

  • 카카오의 모든 임직원은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입사 시 영어식 이름을 정해 사용해야 한다. 이 규정은 다른 카카오 계열사의 모든 임직원에게도 적용된다.[5] 예를 들어 김범수 이사회 의장의 영어 이름은 브라이언(영어: Brian)이다.
  • 임직원들끼리 다른 임직원을 직급 등의 호칭 없이 해당 직원의 영어식 이름만을 부른다.
  • 대외 커뮤니케이션에 사용하는 언어가 독특하다. 인터넷 기업들이 일반 기업 대비 캐주얼한 언어를 사용해오긴 했지만, 기업 공식 커뮤니케이션에 구어체 화법을 사용한 것은 카카오만의 차별점이었다. 그 독특함으로 인해 기사화 되기도 했고, 유저들의 호감도도 올라갔다.
  • 카카오의 모든 임직원은 임원이나 간부나 중간관리자급 사원이라해도 일반 직원들과 똑같은 사무실을 사용한다. 유일한 예외는 김범수 이사회 의장이다. 이후 회사가 급속도로 커지면서 임지훈 대표 시절부터 개인 집무실이 도입되기 시작했고, 조수용-여민수 대표 시절에는 실장급 이상 임원들에게 개인 집무실이 주어졌다.
  • 여성 관리자 비율이 2021년 기준 28.6%[6]로 국내 주요 기업 중 상위권이다. 2022년 상반기 기준 여성 직원 비율은 43% 이상[7]이다.
  • 길이 120미터에 달하는 H스퀘어 오피스를 사용할때, 사내 이동 편의를 위해 킥보드를 도입했다는 사실이 화제[8]가 됐다.
  • 본사는 제주도에 있지만, 실질적인 본사 기능을 하는 판교 오피스(2012.07~2022.06)는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35에 소재한 H스퀘어였다. 2022년 7월 4일 판교역을 끼고 있는 '카카오 판교아지트'(분당구 판교역로 166소재)로 이전했다. 신축 건축물은 10년 책임 임대차로 계약[9]해 사용한다.

다음 - 카카오 합병

2014년 10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사용한 다음카카오의 로고

2014년 5월 (주)다음커뮤니케이션과 (주)카카오가 합병을 발표하였고 8월 27일 양사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최종 승인되었다.

2014년 10월 1일 통합법인이 출범하였고 10월 31일 (주)다음카카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015년 9월 23일 (주)다음카카오에서 (주)카카오로 사명을 바꾸었다.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