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다이쿄쿠쇼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다이쿄쿠쇼기
Remove ads

다이쿄쿠쇼기(大局将棋、たいきょくしょうぎ)는 옛 쇼기의 하나이다. 알려진 쇼기에서는 말의 수와 판의 크기가 최대인 것이다.

Thumb
다이쿄쿠쇼기의 말의 초기 배치

개요

아군·적군 각각 402개(합계 804개)의 말을 사용하는 최대 규모의 보드 게임이다.

타이쇼기(혼쇼기·주쇼기·다이쇼기·다이다이쇼기·마카다이다이쇼기를 포함)·덴지쿠다이쇼기·와쇼기로부터 거의 대부분의 말을 도입했기에 이들보다는 시대가 늦다고 추정된다.[1] 이들의 쇼기에 포함돼있는 말 이외에도 다수의 말이 추가돼있고, 이 안의 몇 개는 외의 현재 전해지지 않은 변종으로부터 도입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또, 타이쇼기까지의 대형 변형 쇼기는 말 이름에 불교·신토·민간 신앙의 영향이 보였으나, 다이쿄쿠쇼기에서는 그러한 종교적 요소는 옅어졌다.[1]

역사

요약
관점

발견과 배경

1990년대간사이 쇼기 회관(関西将棋会館) 내의 쇼기 박물관에서 미정리 자료 중에서 발견된 오하시가(大橋家)의 고문헌 『다이쿄쿠쇼기 말』(大局将棋駒)에 기재돼있고, 에도 시대에 고안됐다고 추정된다. 『다이쿄쿠쇼기 말(大局将棋駒)』을 포함한 '오하시가 문서'는 간사이 쇼기 회관 내의 쇼기 박물관의 폐관 후 한때는 오사카 상업대학 어뮤즈먼트 산업 연구소(大阪商業大学アミューズメント産業研究所)로의 이관도 검토됐으나 최종적으로는 오하시가의 혈연자에게 반환됐다.[2][3] 『다이쿄쿠쇼기 말』(大局将棋駒)에 적힌 규칙의 내용은 유희사 연구자인 우메바야시 이사오(梅林勲)에 의해 해석됐다.[1] 다이쿄쿠쇼기에 대해 상술된 첫 문헌은 『세계의 쇼기』(世界の将棋)(쇼기텐고쿠샤(将棋天国社), 1997년)이고, 해당 문헌에는 우메바야시의 해석에 따른 말의 움직임이 기록돼있다.[1](후술 '#규칙' 절의 기술은 해당 문헌의 개정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다이쿄쿠쇼기 말』의 내용은 말의 명칭과 배치 그림에 말의 움직임이 점으로 기록돼있을 뿐이고, 상세한 규칙이나 제작 경위 등은 남아있지 않다.[1] 또, 기보도 현존하고 있지 않고, 당시 판과 말이 작성됐다는 증거도 없기에 실제로 두어졌는가는 불명이다.

쇼기 연구자인 고사쿠 노보루(古作登)는 에도 시대 당시의 쇼기 본가 오하시가와 바둑 본가 혼인보가의 사이에서 세력 다툼이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며 오하시가가 '그때까지 최대였던 타이쇼기를 능가한 스케일의 쇼기를 만드는 것으로 인정돼 가문의 격을 높이려고 했다'라고 분석해 제작 시기를 1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다.[1] 또, 고사쿠는 '대국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에 게임으로의 재미가 부족한 것', '다이쿄쿠쇼기에 대해 해설한 문서가 외에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어디까지나 장관한 말의 배치의 쇼기를 창작해 권위를 보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고, 실제로 두어진 것은 아닐 것이라고 한다.[1]

후술할 TV 방송 『트리비아의 샘』(トリビアの泉) 등의 미디어에서 소개되기까지 다이쿄쿠쇼기는 거의 알려져있지 않았다. 예를 들면 1991년일본 영화장군』(王手)(아카이 히데카즈(赤井英和) 주연,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종반에서는 와카야마 도미사부로가 연기하는 전 진검사(真剣師, 내기 장기나 내기 바둑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가 마련한 대국에서 사용된 타이쇼기(작중에서의 명칭은 헤이안다이쇼기)가 세계 최대의 쇼기 및 보드 게임으로 소개됐다.

판과 말

전술한 대로 고안된 당시에 판과 말이 작성됐다는 증거는 없다. 2012년의 시점에는 복원된 말이 적어도 두 묶음 뿐이었다.[4] 2024년 현재는 적어도 한 묶음이 오사카 상업대학에,[5][a] 한 묶음이 아오모리현 오이라세정오야마 쇼기 기념관(大山将棋記念館)에 소장돼있다.[6]

대국 예시

2004년 5월 19일 방송의 후지 TV계 『트리비아의 샘』에서 '쇼기에는 804개의 말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라는 여담으로 소개돼, 방송에서는 이토 히로후미(伊藤博文) 6단과 안요지 다카노리(安用寺孝功) 4단(단위는 당시의 단위)에 의한 대국이 행해졌다.[7] 말의 움직이는 방법을 표시한 규칙서를 보면서 두었고, 몇 차례의 휴식 휴면을 하면서 대국 시간 32시간 41분(총 3일간)의 끝에 3805수에 선수 안요지가 승리했다.[8] 대국 후, 안요지는 '더이상은 하고 싶지 않다', 이토는 '져서 분하지는 않다'라고 이야기했다.[8] 이것이 사상 첫 다이쿄쿠쇼기의 공식 대국으로 여겨지고,[8] 이 방송 이후, 다이쿄쿠쇼기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Remove ads

규칙

요약
관점

이 절의 내용은 특별한 기록이 없는 한 우메바야시(梅林)·오카노(岡野)(2000)[9]를 출전으로 한다.

기본 규칙

  • 가로 세로 36칸씩 나눠진 쇼기판 위에서 한다.
  • 자신 시점에서 앞의 11단을 자신의 진영, 반대로 상대편 시점에서 앞의 11단을 적진으로 한다.
  • 경기자 쌍방이 교대로 판 위에 있는 자신의 말을 움직인다. 말은 버리는 것으로 즉, 혼쇼기와는 다르게 가지는 말이라는 개념이 없다.(얻은 적의 말을 사용하는 것을 할 수 없다)
  • 말은 209종류이고,[b] 각각 움직임이 정해져있다.
  • 왕장, 구반 (규한), 구반 (규반), 천구, 봉사, 인사, 대장, 구행, 붕사, 중사, 사응, 분취, 대사, 대기 이외는 적진에 들어가면 '승격'한다.
  • 자신의 말을 움직였을 때, 움직인 곳에 상대의 말이 있으면 그 말을 잡을 수 있다.
  • 승격은 이동이 완전하게 종료한 뒤이다.(2보 이동 가능한 말에 관해서는 2보째를 이동한 뒤)
  • 왕장을 잡혀도 태자가 남아있다면 패배로 되지 않는다. 태자에는 처음부터 존재하는 태자와 취상의 승격으로의 태자가 있고, 최대 3개의 왕이 존재할 수 있다.
  • 최후의 한 개의 왕장 혹은 태자를 외통수로 만든 쪽이 승리한다.
  • 대장, 부장, 각장, 비장, 맹룡, 비악(飛鰐, 비장의 승격)은 각각 특정 방향으로 자신보다도 격이 낮은 말이라면 몇 개라도 뛰어넘어 그 뛰어넘은 말의 아군 말을 포함해 전부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말의 격은 다음 순서와 같다.
    1. 왕장, 태자
    2. 대장
    3. 부장
    4. 각장, 비장, 맹룡, 비악
    5. 그 외의 말

초기 배치도

초기 배치는 이하와 같다.[9] 더욱이 위쪽부터 12단에 있는 말은 후수 말, 아래쪽부터 12단에 있는 말은 선수 말이다.

향차(香車)백호(白虎)주토(走兎)경예(鯨鯢)화귀(火鬼)산취(山鷲)천구(天狗)수조(獣曹)주마(走馬)분귀(奔鬼)지룡(地龍)구반(鳩槃)분맥(奔獏)분왕(奔王)후기(後旗)우장(右将)금장(金将)태자(太子)왕장(玉将)금장좌장(左将)후기분왕분맥구반(鳩盤)지룡분귀주마수조(獣曹)천구산취화귀경예주토현무(玄武)향차
반차(反車)향상(香象)산구(山鳩)비연(飛燕)금리(禽吏)우룡(雨龍)삼귀(森鬼)산록(山鹿)주구(走狗)주사(走蛇)횡사(横蛇)대구(大鳩)주호(走虎)주웅(走熊)야인(夜刄)금강(金剛)은장(銀将)취상(醉象)근왕(近王)은장역사(力士)나찰(羅刹)주웅주호대구횡사주사주구산록삼귀우룡금사비연산구백상(白象)반차
금차(金車)횡룡(横龍)주록(走鹿)주랑(走狼)각장(角将)비장(飛将)우호(右虎)우룡(右龍)수리(獣吏)풍룡(風龍)분구(奔狗)행조(行鳥)고치(古鵄)공작(孔雀)수룡(水龍)화룡(火龍)동장(銅将)봉사(鳳師)인사(麟師)동장화룡수룡공작고치행조분구풍룡수리좌룡(左龍)좌호(左虎)비장각장주랑주록횡룡금차
은차(銀車)수웅(竪熊)계마(桂馬)돈장(豚将)계장(鶏将)구장(狗将)마장(馬将)우장(牛将)중기(中旗)횡저(横猪)은토(銀兎)금록(金鹿)사자(獅子)금조(禽曹)대록(大鹿)맹룡(猛龍)임귀(林鬼)부장(副将)대장(大将)임귀맹룡(猛龍)대록금조(禽曹)사자금록은토횡저중기우장(牛将)마장구장계장돈장계마수웅은차
석차(石車)운취(雲鷲)각행(角行)비차(飛車)횡랑(横狼)비묘(飛猫)산응(山鷹)수호(竪虎)병사(兵士)소기(小旗)운룡(雲龍)동차(銅車)주차(走車)양병(羊兵)맹우(猛牛)대룡(大龍)금시(金翅)무명(無明)제바(提婆)금시대룡맹우양병주차동차운룡소기병사수호산응비묘횡랑비차각행운취석차
목차(木車)백구(白駒)기견(𠵇犬)횡행(横行)용록(踊鹿)수우(水牛)맹표(猛豹)맹취(猛鷲)비룡(飛龍)독사(毒蛇)안비(鳫飛)조행(烏行)맹견(盲犬)수장(水将)화장(火将)봉황(鳳凰)구행(鉤行)소귀(小亀)대귀(大亀)마해(摩𩹄)기린(麒麟)화장수장맹견조행안비독사비룡맹취맹표수우용록횡행기견백구목차
와차(瓦車)수랑(竪狼)횡우(横牛)여마(驢馬)마린(馬麟)맹웅(猛熊)진저(嗔猪)악랑(悪狼)풍마(風馬)계비(鶏飛)고원(古猿)회계(淮鶏)북적(北狄)남만(南蛮)맹록(猛鹿)맹랑(猛狼)은호(隠狐)중사(中師)붕사(鵬師)은호맹랑맹록동이(東夷)서융(西戎)회계고원계비풍마악랑진저맹웅(猛熊)마린여마횡우수랑와차
토차(土車)주작(朱雀)변리(変狸)기병(騎兵)치행(鴟行)등원(登猿)묘인(猫刄)연우(燕羽)맹원(盲猿)맹호(盲虎)우차(牛車)횡비(横飛)맹웅(盲熊)노서(老鼠)방행(方行)반사(蟠蛇)와룡(臥龍)분취(奔鷲)사응(獅鷹)와룡반사방행노서맹웅(盲熊)횡비우차(牛車)맹호(盲虎)맹원연우묘인등원치행기병변리청룡(青龍)토차
차병(車兵)횡병(横兵)수병(竪兵)풍장(風将)천장(川将)산장(山将)전기(前旗)마병(馬兵)목장(木将)우병(牛兵)토장(土将)저병(猪兵)석장(石将)표병(豹兵)와장(瓦将)웅병(熊兵)철장(鉄将)대기(大旗)대사(大師)철장웅병와장표병석장저병토장우병목장마병전기산장천장풍장수병횡병차병
우차(右車)횡원(横猿)수행(竪行)비우(飛牛)노병(弩兵)수구(竪狗)수마(竪馬)포병(炮兵)용마(龍馬)용왕(龍王)도병(刀兵)각응(角鷹)비취(飛鷲)창병(鎗兵)수표(竪豹)맹호(猛虎)궁병(弓兵)후견(吼犬)박견(狛犬)궁병맹호(猛虎)수표창병비취각응도병용왕용마포병수마수구노병비우수행횡원좌차(左車)
보병(歩兵)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견(犬)중인(仲人)중인
 
 
 
 
 
 
 
 
 
 
 
 
 중인중인
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보병
좌차횡원수행비우 (쇼기)노병수구수마포병용마용왕도병각응비취창병수표맹호(猛虎)궁병박견후견궁병맹호(猛虎)수표창병비취각응도병용왕용마포병수마수구노병비우수행횡원우차(右車)
차병횡병수병풍장천장산장전기마병목장우병토장저병석장표병와장웅병철장대사대기철장웅병와장표병석장저병토장우병목장마병전기산장천장풍장수병횡병차병
토차청룡변리기병치행등원묘인연우맹원맹호(盲虎)우차(牛車)횡비맹웅(盲熊)]노서방행반사와룡사응분취와룡반사방행노서맹웅(盲熊)횡비우차(牛車)맹호(盲虎)맹원연우묘인등원치행기병변리주작토차
와차수랑횡우여마마린맹웅(猛熊)진저악랑풍마계비고원회계서융동이맹록맹랑은호붕사중사은호맹랑맹록남만북적회계고원계비풍마악랑진저맹웅(猛熊)마린여마횡우수랑와차
목차백구기견횡행용록수우맹표맹취비룡독사안비조행맹견수장화장기린마해대귀소귀구행봉황화장수장조행안비독사비룡맹취맹표수우용록횡행기견백구목차
석차운취각행비차횡랑비묘산응수호병사소기운룡동차주차양병맹우대룡금시제바무명금시대룡맹우양병주차동차운룡소기병사수호산응비묘횡랑비차각행운취석차
은차수웅계마돈장계장구장마장우장(牛将)중기횡저은토금록사자금조(禽曹)대록맹룡임귀대장부장임귀맹룡대록금조(禽曹)사자금록은토횡저중기우장(牛将)마장구장계장돈장계마수웅은차
금차횡룡주록주랑각장비장좌호좌룡수리풍룡분구행조고치공작수룡화룡동장인사봉사동장화룡수룡공작고치행조분구풍룡수리우룡우호비장각장주랑주록횡룡금차
반차백상산구비연금리우룡삼귀산록주구주사횡사대구 (쇼기)주호주웅나찰역사은장근왕취상은장금강야차(夜叉)주웅주호대구횡사주사주구산록삼귀우룡금리비연산구향상반차
향차현무주토경예화귀산취천구수조(獣曹)주마분귀지룡구반(鳩盤)분맥분왕후기좌장금장옥장태자금장우장(右将)후기분왕분맥구반(鳩槃)지룡분귀주마수조(獣曹)천구산취화귀경예주토백호향차
Remove ads

각주

관련 문서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