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하이드로리포아마이드(영어: dihydrolipoamide)는 리포아마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다이하이드로리포일 탈수소효소에 의해 산화되는 분자이다. 이후 리포아마이드는 α-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 복합체,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 가지사슬 α-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의 보조 인자로 사용된다.
간략 정보 이름, 식별자 ...
다이하이드로리포아마이드
 |
이름 |
우선명 (PIN)
6,8-bis(sulfanyl)octanamide [1] |
별칭
6,8-dimercaptooctanamide |
식별자 |
|
|
|
|
ChEBI |
|
ChemSpider |
|
KEGG |
|
MeSH |
dihydrolipoamide |
|
|
UNII |
|
|
|
InChI=1S/C8H17NOS2/c9-8(10)4-2-1-3-7(12)5-6-11/h7,11-12H,1-6H2,(H2,9,10) 예 Key: VLYUGYAKYZETRF-UHFFFAOYSA-N 예 InChI=1/C8H17NOS2/c9-8(10)4-2-1-3-7(12)5-6-11/h7,11-12H,1-6H2,(H2,9,10) Key: VLYUGYAKYZETRF-UHFFFAOYAF
|
|
성질 |
|
C8H17NOS2 |
몰 질량 |
207.35 g·mol−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