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다제내성 결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제내성 결핵(多劑耐性結核, MDR-TB)은 가장 강력한 결핵 치료제로서 1차 약제로 쓰이는 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와 리팜피신(Rifampicin, RMP)에 내성을 지니고 있는 결핵을 말한다.[1] 단, 다른 항결핵제의 조합에 내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피신에 대한 내성이 없으면 다제내성 결핵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다제내성 결핵은 모든 약에 듣는 결핵을 치료하는 도중 항생제의 투입이 중단되거나 체내의 약의 수준이 세균의 100%를 죽이기에 충분하지 않을 때에 생겨난다. 그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환자들은 병세가 호전되었다고 생각하고 항생제의 투입을 중단할 수 있으며, 제공되던 약이 떨어지거나 희귀해질 수 있고, 환자가 가끔 약 먹는 것을 잊을 수 있다. 다제내성 결핵은 약에 감수성이 있는 결핵과 같은 방법으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2]

Remove ads

감염 역학

다제내성 결핵은 결핵 치료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3] 주로 의사의 부적합한 치료나 환자의 약 복용 누락과 치료 중단이 이유가 된다. 다제내성 결핵은 많은 경우 전염성이 적으며,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들이 쉽게 걸린다.[4][5][6][7][8][9]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