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답면제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답면제동(踏面制動)은 철도차량의 차륜의 레일과 접하는 면(답면)에 마찰재를 눌러붙여 제동하는 제동방식이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7월) |
초기의 철도차량부터 사용된 제동방식으로, 목제, 주철제, 레진제등의 제륜자(制輪子, 브레이크 슈)를 인력, 공기압 등으로 답면에 눌러 붙인다.
답면의 더러움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면서 최대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제동력 이외의 이점으로서 답면의 얼룩이 적기 때문에 궤도회로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다. 반면, 차륜과 레일 사이의 점착력 이상의 제동력은 낼 수 없으며, 마찰에 의해 답면이 마모되어 차륜의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결점이 있다.
이 방식은 견인 전동기를 설치하여 제동 디스크를 장착할 수 없는 구조에서 흔히 쓰이고 있다. 디스크제동이나 레일제동, 전기제동 등, 답면제동의 결점을 개선한 제동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현재로서는 KTX-산천[1]과 일부 KTX에 적용되어 있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