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大邱 把溪寺 阿彌陀三尊圖)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파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개요
파계사에 소장된 이 탱화는 검은색 바탕 위에 금니로 그림을 그린 묵탱(墨幀)으로 화면 하단에 화기를 남기고 있어 1824년 체균(体均), 관보(琯普), 금겸(錦謙), 두천(斗天)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화면에는 아미타불과 관세음, 대세지보살, 그리고 아난, 가섭의 오존(五尊)만이 등장하는데 이처럼 권속이 간략화되는 현상은 19세기 불화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제작시기가 200년이 채 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작품의 상태가 좋지 않지만, 화기를 통해 정확한 제작연대와 작가를 확인할 수 있고, 작품의 필선이 유려한 수작이다.
참고 문헌
- 대구 파계사 아미타삼존도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