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구 파계사 원통전 수미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구 파계사 원통전 수미단(大邱 把溪寺 圓通殿 須彌壇)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파계사 원통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수미단이다. 2015년 5월 11일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73호로 지정되었다.[1]
Remove ads
개요
파계사 원통전에 있는 이 수미단은 상·중·하대를 갖춘 조선후기 일반형 수미단의 형식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중대의 장엄에는 수호와 공양을 상징하는 문양과 불교적 색채를 띤 길상문을 함께 조각하여 조선시대 17세기의 길상장엄의 상징적인 의미가 잘 반영되어 있다. 원통전의 건립시기(1605년)를 기준으로 수미단의 조성시기를 17세기 전반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수미단 중 걸작으로 꼽히는 경북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보물 제486호)과 같은 형식이며, 문양과 조형미, 조각기법 등에서 우수하고 제작시기는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보다 고식으로 추정된다.[1]
같이 보기
-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보물 제486호)
각주
참고 자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