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강철교
대동강을 지나가는 철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는 경의선 철도가 평양에서 대동강을 지나는 구간에 놓인 다리이며,[1] 1905년에 건설되었다.
역사
대동강철교는 러일 전쟁 당시 전쟁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경의선을 건설하면서 평양의 대동강 구간에 놓은 철교이며, 1905년 3월 24일 준공되었다.[2][3][4] 남쪽의 대동강역과 북쪽의 평양역을 연결하는 다리로 대동강 속의 섬 양각도(羊角島)를 지난다.
처음에는 철교(鐵橋) 아닌 임시목교(臨時木橋)에 불과하여 철교로 다시 건설하기 위해 양각도 주민 40여호 중 절반인 20여호를 이주시키려 하자 상당한 반발이 있었다.[5] 목교라서 수해로 끊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기 때문에[6] 1907년에 철교로 바꾸는 공사를 시작하여[7] 1909년 제1, 제2 철교가 준공되어 6월 6일에 낙성식을 가졌다.[8]
1930년대 말에 경부선과 경의선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면서 노후화된 대동강 철교도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되고[9], 1938년 4월에 공사를 시작하여[10], 1942년에 완공된다.[3][11]
이 철교는 한국 전쟁 시기에 중국인민지원군이 개입하자 그들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UN군 측이 파괴한 직후,[3][12] 수많은 피난민들이 끊어진 다리를 건너기 위해 매달려 있는 사진으로 널리 알려졌다.[13][14] 파괴된 철교는 전후에 복구되었다.
1986년에 대동강철교와 같은 위치에 인도교인 양각교(羊角橋)가 나란히 건설되어 옆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두 다리가 잘 구분이 안 된다.
사람과 차량 통행을 위한 최초의 대동강 인도교인 대동교는 1923년 11월 30일 준공되었다.
사진
- 대동강 다리 선로를 기차가 처음 시운전 하는 장면. 목조 다리인 것이 보임.
- 대동강의 목조 철도교량을 기차가 달리고 있다.
- 얼어붙은 대동강에서 가교 공사를 하고 있다.
- 대동강의 목조 철도 교량을 철교로 대체 공사를 한 후의 사진.
- 양각도와 대동강을 가로지르는 대동강 철교가 보인다.
- 미군이 1946년 작성한 평양지도. 양각도를 지나는 대동강 철교가 나와 있다.
- 중공군 개입으로 평양에서 철수하는 UN군을 따라 남하하기 위해 대동강 철교에 매달린 피난민들 : 1950년 12월 3일
- 1950년 12월 3일 남하하기 위해 끊어진 대동강 철교를 오르는 피난민들
- 6.25 전쟁 당시 대동강을 건너 남하하는 피난민들. 1950년 12월 3일의 사진. 강물은 얼어붙기 직전이고, 얼음조각이 떠다녔다.
- 대동강철교와 양각교 파노라마 사진. 최대로 확대된 것을 보면(8,844 × 1,782 픽셀) 다리 전경이 잘 보인다.
- Flight of Refugees Across Wrecked Bridge in Korea en.wikipedia : 1950년 12월 4일 끊어진 대동강 철교를 건너려는 피난민들
- Yanggak Rail Bridge Structurae (International Database and Gallery of Structure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