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모음 추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모음 추이(大母音推移, 영어: Great Vowel Shift, GVS)는 중세 영어 후기(15세기 초)에 시작되어 근대 영어 시기(17세기)에 끝난, 영어의 모음 체계에서 나타난 일련의 변화를 말한다. 여기에는 자음 발음의 변화까지 아우른다.[1]

개요

중세 영어 시기에 강세가 있는 7개의 장모음 가운데 /iː, uː, aː, ɔː/는 이중모음 /aɪ, aʊ, eɪ, oʊ/ 으로 바뀌었고, /eː, ɛː, oː/는 혀의 위치가 올라가 각각 /iː[2], uː/로 바뀌었다.

그 후 15세기 중엽 이후에는 활판 인쇄 기술이 향상되었는데, 덕분에 서적 등의 문서를 많이 보급하자 영어 어휘의 철자가 고정되기 시작한 반면 발음은 변화를 지속했다. 그 결과 오늘날 현대 영어에서 많은 낱말음가철자가 일치하지 않는다.

도표

자세한 정보 낱말, 대모음 추이 전 후기 중세 영어 ...

이 언어 현상을 처음 연구한 학자는 덴마크언어학자오토 예스페르센으로, 그가 ‘대모음 추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대모음 추이 현상은 완전히 일정하지는 않다. 그래서 영어의 문어구어 모두에서 모음이 이동한 정도 차이가 지역 방언에서 나타나며, 그 일례가 스코틀랜드 영어다. 영어에서 나타났던 대모음 추이의 정확한 원인은 여전히 언어학, 문화사상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대모음 추이가 일부만 적용된 예로는 tomato와 either, neither 등의 발음이 있다.

Remove ads

변화 표

Thumb
대모음 추이의 진행 과정

같이 보기

관련 논문

  • 이진아, 〈大母音 推移에 關한 硏究〉,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3년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