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승백법명문론
세친이 대승 아비달마의 법체계를 5위 100법으로 확정하여 명시한 논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Remove ads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은 세친이 저술하였고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유식유가행파의 논서로, 《유가사지론》의 〈본지분〉(本地分)에 나오는 모든 법(法)의 이름과 개수를 5위 100법(五位百法)으로 요약 확정하여 열거한 논서이다. 대승 아비달마의 법체계를 5위 100법으로 확정하여 명시한 논서로서, 법상종의 소의논서 중 하나로 매우 중시되는 논서이다.[1][2]
이 논서는 그 시작을 다음과 같이 시작하고 있다.
이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분류, 즉, 5위(五位)로 나누어 이 순서대로 100법을 나열하고 있다.
- 심법(心法): 8개의 법이 있다.
- 심소유법(心所有法): 51개의 법이 있다.
- 색법(色法): 11개의 법이 있다.
-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개의 법이 있다.
- 무위법(無爲法): 6개의 법이 있다.
이후 논서는 다음과 같이 마지막을 맺고 있다.
이와 같이 이 논서는 대승불교의 주요 교의인 공(空) 즉 아공(我空)과 법공(法空), 즉, 2무아(二無我) 즉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를 천명하고 있으며, 이것이 이 논서의 핵심 요지이다.[1]
이 논서의 주석서는 아주 많은데 그 중 중요하게 여기는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1]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