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전광역시 유성구와 대전광역시 동구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大田南部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300호선)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대전 분기점을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 분기점을 종점으로 하여 대전광역시의 남부를 동서로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산내 분기점과 비룡 분기점 사이는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노선을 공유한다. 경부고속도로 비룡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과 함께 대전광역시의 순환선을 이룬다.
Remove ads
역사
- 1988년 1월 14일 :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원내동 ~ 대덕군 동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3호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대전남부순환선)으로 지정[1]
- 1992년 4월 29일 : 기점을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원내동'에서 '대전직할시 유성구 원내동'으로, 종점을 '충청남도 대덕군 동면'에서 '대전직할시 동구 비룡동'으로 변경[2]
- 1994년 2월 6일 : 전 구간 착공
- 1994년 5월 14일 : 1996년 12월까지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전직할시 중구 구완동 ~ 동구 비룡동 10.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
- 1995년 10월 7일 : 1999년 12월까지 왕복 4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대전광역시 중구 구완동 ~ 동구 대성동 4.3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경부고속도로 회덕 ~ 증약 구간 확장공사로 인한 선형 변경으로 대전광역시 동구 삼정동 ~ 비룡동 1.6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 중구 구완동 10.3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대전직할시 유성구 원내동'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으로,종점을 '대전직할시 동구 비룡동'에서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으로 변경[6]
- 1996년 9월 16일 : 판암 나들목 접속도로 입체화(지하차도) 공사로 인해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1.2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 1998년 11월 20일 : 2000년 12월까지 원내 나들목 입체화 공사로 인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 중구 구완동 10.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1999년 8월 27일 : 2000년 12월까지 안영 나들목 진출입로 개량 및 입체화 공사로 인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 중구 구완동 10.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9]
- 1999년 9월 6일 : 비룡 분기점 ~ 판암 나들목 3.3km 구간(통영대전고속도로 중첩 구간) 개통[10]
- 1999년 9월 18일 : 2000년 12월까지 서대전 분기점 선형 개량 공사로 인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 중구 구완동 10.2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2000년 12월 22일 : 서대전 분기점 ~ 판암 나들목 18.8km 구간 개통[12] 및 호남고속도로(現 호남고속도로지선)의 서대전 나들목이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 서대전 나들목은 서대전 분기점으로 변경됨.
- 2001년 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13호에서 제300호로 변경[13]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서대전 분기점부터 산내 분기점까지 13.28km 구간을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로 고시[14]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 종점을 '대전광역시 동구 비룡동'으로 명시[15]
Remove ads
구성
- 차로수
- 전 구간 왕복 4차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 총연장
- 20.8km
- 제한속도
-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통영대전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터널
나들목 · 분기점
주요 통과지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