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Daejeon Science Festival)은 과학기술도시 대전[1]을 대표하는 국내 최대의 과학축제로 대전의 과학콘텐츠 자원과 시대적 콘텐츠 요소를 '융복합한 과학축제'로, 융합과 미래 그리고 참여를 더욱 견고히 하여 대전의 정체성 확립 및 도시브랜드를 제고하는 '대전다운' 과학문화관광축제를 표방한다.[2]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 등이 입주해 있고 1993년 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도시이다. 또한 대전시는 UNESCO와 격년제로 세계 과학기술인과 기업인이 참가하는 대전세계혁신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2012년도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도시로 확정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최고의 과학도시이다.

Remove ads

축제취지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2000년부터 개최되기 시작하여 올해로 21년째를 맞는 대전의 대표축제이다. 청소년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대국민 과학마인드 제고에 기여하며, 지역 특화형 축제로써 국내 관광산업 및 과학산업 발전의 촉매로써 역할 수행을 모토로 하고 있다. 더 나아가 대전의 상징축제로서 첨단과학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대전의 도시 이미지 및 특성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지역경제 파급효과의 극대화와 과학․문화관광산업의 육성, 엑스포과학공원의 활성화 및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기관 간 연계 촉진 등 다각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국내 최대의 과학축제라고 할 수 있다.[3]

연도별 개최현황

요약
관점

2000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19년까지 총 22회 개최되었다.[4]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해가 거듭되면서 여러 가지 변수들로 인하여 축제의 모양이 변모되었는데, 외부전문가들이 투입되어 기본계획을 수립했던 2000년에서 2004년까지의 시기를 사이언스페스티벌 1기, 한국과학문화재단(현,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함께 주관하여 대한민국창의과학축전과 공동으로 한 2005년을 사이언스페스티벌 2기, 자체적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하던 2006년과 2007년을 사이언스페스티벌 3기, 개최 시기와 방법 등의 큰 변화가 있었던 2008년부터 2010년까지를 4기로 구분한다.[5]

자세한 정보 구분, 2000년(1회)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행사 사진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