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목
고등학교의 국어 교과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목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에서 국어 배우는 과목이다. 단위 수업 시간은 50분이다.
교육과정
요약
관점
국민 기본 공통 교과
국민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교과목이다.
- 5차 교육과정 : 국어
- 6차 교육과정 : 국어
- 7차 교육과정 : 국어 (상), 국어 (하)
- 2007 개정 교육과정 : 국어 (상), 국어 (하)
- 2009 개정 교육과정 : 국어 I, 국어 II
- 2015 개정 교육과정 : 국어
선택 중심 교과
국어과 심화선택과목에 해당하는 교과목으로서, 대부분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과목을 이수시킨다.
- 5차 교육과정 - 문학, 작문, 문법
- 문학 : 문학의 본질과 한국 문학의 특징, 문학 작품의 이해 및 감상, 한국 문학의 민족 문학적 특성
- 작문 : 작문의 특성, 작문의 원리, 작문의 실제
- 문법 : 언어의 본질과 국어의 특질, 국어의 이해와 분석
- 6차 교육과정 - 문학, 화법, 독서, 작문, 문법
- 문학 : 문학의 본질과 기능,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
- 화법 : 화법의 본질, 화법의 원리, 화법의 실제
- 독서 : 독서의 본질, 독서의 원리, 독서의 실제
- 작문 : 작문의 특성, 작문의 원리, 작문의 실제
- 문법 : 언어의 본질과 국어의 특질, 국어의 이해, 국어사용의 실제
- 7차 교육과정 - 국어생활,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
- 국어생활 : 국어와 우리의 삶, 국어 생활의 실천, 국어 생활과 국어 정신
- 화법 : 화법의 본질, 화법의 원리, 화법의 태도
- 독서 : 독서의 본질, 독서의 원리, 독서의 태도
- 작문 : 작문의 본질, 작문의 원리, 작문의 태도
- 문법 : 언어와 국어, 국어 알기, 국어 가꾸기
- 문학 : 문학의 본질, 문학의 수용과 창작, 문학과 문화, 문학의 가치화와 태도
- 2007 개정 교육과정 - 화법, 독서, 작문, 문법, 문학
- 화법 : 지식, 기능
- 독서 : 지식, 기능
- 작문 : 지식, 기능
- 문법 : 국어와 앎, 국어와 삶, 국어와 얼
- 문학 : 문학의 성격, 문학 활동, 문학의 위상, 문학의 삶
- 매체언어 : 매체 언어의 성격, 매체 언어와 사회 · 문화, 매체 언어의 수용과 생산
- 2009 개정 교육과정 - 화법과 작문 1 · 2, 독서와 문법 1 · 2, 문학 1 · 2
- 화법과 작문 I : (화법) 지식, 기능 (작문) 지식, 기능
- 화법과 작문 II : (화법) 답화 유형 (작문) 글의 유형
- 독서와 문법 I : (독서) 지식, 기능 (문법) 국어와 앎, 국어와 삶
- 독서와 문법 II : (독서) 글의 유형 (문법) 국어와 규범, 국어와 얼
- 문학 I : 문학의 성격, 문학 활동
- 문학 II : 문학의 위상, 문학과 삶
- 2011 개정 교육과정 - 문학,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 문학 : 문학의 수용과 생산, 문학과 문화, 한국 문학의 특질, 한국 문학의 흐름, 문학과 성찰, 문학과 상생
- 화법과 작문 : 표현과 소통,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화법과 작문, 표현과 문화
- 독서와 문법 : 독서의 본질, 국어의 구조와 국어 생활, 글의 구조와 독서의 방법, 독서와 실제와 국어 자료의 탐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일반) :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 문학 : 문학의 본질, 문학의 수용과 생산,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문학에 대한 태도
- 독서 : 독서의 본질, 독서의 방법, 독서의 분야, 독서의 태도
- 언어와 매체 : 언어와 매체의 본질, 국어의 탐구와 활용,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언어와 매체에 관한 태도
- 화법과 작문 : 화법과 작문의 본질, 화법의 원리와 실제, 작문의 원리와 실제, 화법과 작문의 태도
- 2015 개정 교육과정(진로) - 실용국어, 심화국어, 고전 읽기
- 실용국어 : 직무 어휘와 어법, 정보의 해석과 조직, 설득과 협력적 문제 해결,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문화와 교양
- 심화국어 : 논리적 사고와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창의적 사고와 문화 활동, 윤리적 사고와 학문 활동
- 고전 읽기 : 고전의 가치, 고전의 수용, 고전과 국어 능력, 고전과 삶
Remove ads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